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자기해석수준의 차이에 따른 가치지향적 광고의 효과 : 가치접근성과 가치중요도의 심리적 매개과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iveness of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across Self-Construal Levels : the Mediating Role of Value Accessibility and Value Importance

남철우, 조형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nded to substantiate the effectiveness of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 as a means of marketing communication for drama contents. In specificity, based on Schwartz's value system(1990), two value oriented advertising appeals (i.e., openness-oriented appeal versus conservation-oriented appeal) were developed and exposed to individuals with different self construal level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extent of congruity between the values depicted in the advertising and self construal level would determine the message effectiveness and each of value accessibility and value importance would play a key mediating role in the message processing. In the main experiment, self construal level (independent self versus interdependent self) and value-oriented advertising type (openness appeal versus conservation appeal) were treated as the between-subject variables and four hundred twent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ere recruited for testing. The results show that value accessibility as well as value importance depended on self construal level such that openness value scored higher than conservation value in both value accessibility and value importance among independent individuals,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among interdependent individuals. Secondly, openness-oriented advertising was more effective among independent individuals than among interdependent individuals, whereas conservation-oriented advertising was more effective among interdependent individuals than among independent individuals. Finally, value accessibility directly influenced viewing attitude and its effect decayed quickly as the result of time elapse, whereas value importance indirectly impacted viewing attitude via the mediation of identification with main characters and its effect was relatively enduring despite time elapse.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value-oriented drama advertising largely depends on individual value system and each of value accessibility and value importance plays a key mediating role in value-driven audience respons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가치지향적 광고 (Value-Oriented Advertising Appeal)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 에서는 Schwartz(1990)의 가치체계이론에 근거하여 신설 드라마에 대한 개방성 지향적 광고와 보존성 지향적 광고를 각각 개발하였고, 이들 가치지향적 광고의 효과가 시청자의 자기해석수준 의 차이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해석수준 과 가치지향적 광고 간 부합성이 높을수록 메시지 수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가치 접근성과 가치중요도가 그 효과를 매개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해석수 준(독립적 자기해석, 상호의존적 자기해석)과 가치지향적 광고(개방성 광고, 보존성 광고)를 집단 간 요인으로 설정하여 25-35세 성인남녀 4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결과, 자기해석 수준의 차이에 따라서 가치 접근성 및 가치중요도 인식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독립적 자기해석집단에서는 개방성 가치의 접근성 및 중요도가 더 높게 나 타난 반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집단에서는 보존성 가치의 접근성 및 중요도가 더 높았다. 둘째, 자기해석수준에 따라서 가치지향적 광고의 효과가 달라졌는데, 독립적 자기해석집단에서는 개방 성 지향적 광고가 등장인물과의 동일시에 더 효과적인 반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집단에서는 보 존성 지향적 광고가 더 효과적이었다. 셋째, 가치지향적 광고의 심리적 수용과정에서 가치 접근 성과 가치 중요도의 매개역할이 관찰되었는데, 가치접근성은 주로 시청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 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시간적 경과에 따라서 그 효과가 빠르게 소멸하는 반면, 가치중요도는 등장 인물과의 동일시 과정을 통하여 시청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시간적 경과에 따른 영향력 감소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는 드라마 콘텐츠에 대한 가치지향적 광고의 효과가 개인적 가치체 계의 차이에 따라서 달라짐을 보여주었으며, 가치지향적 메시지 수용과정에 있어서 가치 접근성 과 가치 중요도의 매개역할을 구조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가치지향적 광고(Value-Oriented Advertising)의 정의 및 역할
  2) 자기해석수준의 차이에 따른 가치지향적 광고의 효과
  3) 가치지향적 광고의 심리적 반응과정
 3. 가설 수립
 4. 연구방법
  1) 연구개요
  2) 실험설계
  3) 실험 참가자
  4) 실험 광고물
  5) 측정항목
 5. 분석 결과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실험 광고물)
 Abstract

저자정보

  • 남철우 Nam, Chul-Woo. KBS 시청자사업부 차장, 광고홍보학 박사
  • 조형오 Cho, Hyongoh.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