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문회 담화의 종결어미 ‘-고요’ 사용 양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age Pattern of Sentence-final Ending ‘-koyo’ in Public Hearing Discourse

김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tudy on the Usage Pattern of Sentence-final Ending ‘-koyo’ in Public Hearing Discourse. Studies in Linguistics. This study analyzes the discourse function of the sentence ending ‘-koyo’, which is frequently used in public hearing discourse, and aims to clarify the discourse principle used as a hedging technique in public hearing discourse. This study thus indicates that ‘-koyo’ is the most used sentence ending in public hearing discourse, when compared to the public hearing discourse corpus and the Sejong Spoken Corpus.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the function of ‘-koyo’ in public hearing discourse through a hierarchical analysis of its function, ranging from the most fundamental to the most unique context in discourse. Moreover, this study revises Hyland’s (1996) hedge categories suitable for Korean in order to build a new framework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sentences ending in “-koyo’ have the following discourse functions: resenting and confirming information, ordering and prohibiting euphemistically, arguing and presenting opinions, presenting evidence, acknowledging and denying, and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mention. Furthermore, ‘-koyo’ was used as a proposition-centered, speaker-centered, and audience-centered hedge. It is derived from ‘the possibility of predicating-sentence of utterance’, which contains the morphological implication of the sentence ending ‘-koyo’ from the sentence connecting ending ‘-k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ignificant since it categorizes the functions of the ending when used as a hedging technique, and clarifies its application within public hearing discourse.

한국어

본 연구는 청문회 담화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종결어미 ‘-고요’가 헤지 문법 항목으로서 역할함을 입증하고 그 원리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문회 담화 말뭉치와 세종 구어 말뭉치 축소형을 비교하여 ‘-고요’의 분포를 밝히고, 담화 맥락 속에서 ‘-고요’가 지니는 의미 기능을 기본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까지 위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종결어미 ‘-고요’는 정보 제공하기라는 기본의미 하에 정보의 일부 제시하기, 정보 확인하기, 완곡하게 명령 및 금지하기, 주장 및 의견 제시하기, 근거 제시하기, 인정하기, 부정하기, 말차례 가져오기 등의 담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Hyland(1996)의 헤지 유형을 수정하고 이를 적용하여 명제 지향적 헤지, 화자 지향적 헤지, 청자 지향적 헤지로 분석의 틀을 고안하였으며, 종결어미 ‘-고요’가 이들 유형에 고루 나타나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렇게 종결어미 ‘-고요’가 헤지 문법 항목으로 활발히 사용되는 것은 연결어미 ‘-고’로부터 형태적으로 함의하게 되는 ‘후행 문장의 발화 가능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특히 청문회 담화는 화자와 청자 사이에 ‘신문’ 및 ‘위증 가능성’이라는 민감한 주제 및 목적을 지니기 때문에 진실성과 관련하여 이러한 헤지 표현이 활발히 쓰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제도 담화이자 공적 구어 담화 장르의 일종인 청문회 담화에 천착하여 그 안에서 개별 문법 항목 ‘-고요’의 담화 기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헤지 문법 항목으로서의 기능을 유형화하고 청문회 담화 안에서의 적용을 구체화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토대
  2.1. 청문회 담화
  2.2. 헤지 문법 항목
 3. 말뭉치 분석
  3.1. 빈도 분석
  3.2. 의미 및 기능 분석
 4. 헤지 문법 항목 ‘-고요’
  4.1. 헤지 문법 항목으로서의 분석틀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강희 Kim Kanghee.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