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delinquency and family, school, and the social capital of friends. For the study, 17 adolescents with at least one in-school discipline experienc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Subsequently, grounded theory was used to determine their juvenile delinquency process and 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egative social capital in family and school, which is the 'lack of interaction with significant others', proved to accelerate the delinquency of adolescents and consequently, it was found to be the cause for delinquency. By determining juvenile delinquency types based on social capital, these in turn were further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ubcategories: 'lack of discretion type' and 'mapping out type' with positive social capital, 'rebellious type' and 'avoidance type' with negative social capital. Each subtype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course of delinquency until reaching a habitual level.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esponse method should be changed accordingly, suggesting that the role of family, school, and friends in social capital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the behavior of adolescent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s with and among these groups can be effective for suppressing or even preventing juvenile delinquency.
한국어
본 논문은 청소년의 비행과 가정, 학교, 및 친구 사회자본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최소 1회 이상 교내징계를 받은 경험이 있는 청소년 1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후 근거이론을 이용하여 이들의 비행 과정 및 유형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의미 있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부재’인 가정과 학교에서의 부정적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비행화를 가속화하고 결과적으로 비행을 촉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사회 자본을 토대로 청소년 비행 유형을 도출한 결과 긍정적 사회자본을 가진 ‘몰지각형’, ‘설계형’과 부정적 사회자본을 가진 ‘반항형’, ‘회피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유형은 비행이 습관화될 수준으로 빠지기까지의 과정에서 상이한 특징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대응방법도 달라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가족, 학교, 친구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의미 있는 타인이 청소년의 행동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과의 관계형성이 청소년 비행을 억제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 비행
2. 사회자본의 개념 및 관련연구
3. 사회자본과 청소년비행
Ⅲ. 연구방법
1. 근거이론 방법
2. 연구 참여자 선정 및 자료수집
Ⅳ. 연구결과
1. 개방코딩
2. 축코딩
3. 선택코딩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