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조 당비파ㆍ향비파 사용양상 고찰 및 교육 적용

원문정보

A Study on Use Patterns of Dangbipa and Hyangbipa in Joseon Dynasty and Educational Application

임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limitations caused by the lack of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Bipa used in Korea, and to consider the use of Dangbipa (four-stringed Tang mandolin) and five-stringed Hyangbipa in a comparative context.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use patterns of the Dangbipa and the Hyangbipa in a comparative context would be likely linked to periodic changes in music,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these two instruments from an historical perspective. The comparative context related to these two instruments was focused on the Joseon period and modern and postmodern periods when specific discussions could be conduct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Joseon, an orchestra for ritual ceremonies had the Dangbipa and the Hyangbipa. In comparison, there were only the Dangbipa during the later period of Joseon. It was found that whereas the Dangbipa was continuously used throughout the Joseon era, Hyangbipa came to be used less and less until it was eventually only used during memorial services. Such continuous use of the Dangbipa was shown not only in Royal court music but also in private performance, Pungryubang.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use of the Hyangbipa began to ebb away and the use of the Dangbipa increased remarkably. In short, Bipa survived mostly due to the use of the Dangbipa during the latter days of Joseon. Until now, regarding the Bipa, music textbooks have introduced the Hyangbipa as part of the representative instruments of three stringed instruments and three wind instruments in the United Silla era. Moreover, those textbooks reveal only fragmentary knowledge about the Hyangbipa and there is almost no mention of the Dangbipa. As shown in this study, special consideration should be afforded to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the Dangbipa based on the fact that the use of the Dangbipa was more important than the Hyangbipa from a musical history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Dangbipa and Hyangbipa that were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it may be possible to understand musical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hree countries, if only partially. To examine and consider the actual use of these instruments in connection with musical bands and musical pieces, instead of just thinking about them as instruments that existed in the past, will be very helpful in enlarging ou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music.

한국어

본고는 한국에서 사용된 비파에 대한 연구가 주로 형태적 관점에 치중된 한계를 인식하고, 당비파와 향비파의 쓰임에 대하여 비교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자 하였다. 당비파와 향비파에 대한 사용 양상에 대한 비교적 관점에서의 고찰은 시대별 음악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사적 관점의 흐름에서 논하였다. 비교 관점에 대한 논의는 구체적으로 내용 파악이 가능한 조선조를 중심으로 살폈다. 논의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선 전기에 당비파는 제사악의 등가와 헌가에 모두 쓰인 반면, 향비파는 주로 헌가(또는 전정악)에만 쓰였다. 연례악에서 당비파는 당악과 향악에 모두 쓰인 반면, 향비파는 향악에만 쓰였다. 이러한 연례악에서의 용도 차이는 『악학궤범』에서 당비파 조현법이 당악․향악에 모두 있는 반면, 향비파 조현법은 향악에 쓰인 차이와 일맥상통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전정헌가, 정재 반주악대 그리고 전정고취에는 2종의 비파가 모두 쓰였으나, 전후(殿後)에 배설된 전후고취와 이동식 고취악대인 전부고취․후부고취에는 당비파만 쓰인 차이도 나타났다. 제사악이나 연례악에서 비파의 쓰임에는 당비파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악대의 편성에서 비파 수량이 감소되는 변화와 함께 종묘 등가에 향비파가 없어지는 변화가 생겼다. 경모궁제례악에서 당비파는 등가에만, 향비파는 헌가에만 편성되었다. 연례악의 경우, 전정헌가와 전정고취에 향비파가 쓰이지 않는 변화가 나타났다. 요컨대 전기에 비해 향비파의 쓰임이 현격하게 줄었다. 회화자료에서는 이미 16세기 후반부터 잔치에 당비파만 쓰인 사실이 보이고, 17세기 이후에도 그러한 현상은 일관되게 나타난다. 또한 18세기 회화자료에서도 민간풍류에 쓰인 당비파의 면모도 나타났다. 조선 후기에 비파는 당비파를 중심으로 명맥이 유지되었던 것이다. 음악사 측면에서 향비파보다 당비파의 쓰임이 중요하게 취급되었던 점을 고려할 때, 당비파에 대한 교육적 활용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국․한국․일본 3국이 모두 사용한 당비파, 향비파를 통해서 3국의 음악문화교류의 일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과거에 존재한 악기로 그치지 말고 실제 사용된 측면을 악대, 악곡과 관련지어 다룬다면, 국악사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목차

Ⅰ. 서론
 Ⅱ. 당비파ㆍ향비파의 구조 및 조현법
 Ⅲ. 당비파ㆍ향비파의 용도 차이와 그 변화
 Ⅳ. 비파의 교육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임미선 Lim, Mi-Sun. 단국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