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 전개와 과제

원문정보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Sociocultural Arts Education and its Future

김희선, 장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in sociocultural context has become highlighted and increased as it can provide a fair opportunity of experiencing arts and culture to any member in a society and attract their participation to social activities. This research examined the brief history of sociocultural arts education in Korea, specifically dealing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gugak) education. By exploring the concepts, policies, institutions, and programs related to gugak-based socio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tried to find its future direction. After school class, special ability program, and gugak instructor-pool system have been run since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 schools began to provide extra curriculum courses in 2006. The purpose of opening gugak extra curriculum programs in the earlier times was aimed to create jobs for gugak musicians. However, it later moved to more expansive areas to firmly build gugak education and to widen its beneficiary, and to raise artistic knowledge, cultural sensibility, and creativity among the Korean students. The school provides more diversified programs, for example “Art-flower seed school” and “Student orchestra.” The government-led sociocultural education with gugak in the beginning was focusing on children, seniors, disabled, and low income bracket, and for people in special cases, such as correction facility and military. Since 2010, however, the targeted educational recipients expanded to all Korean citizen, and the programs were designed not only in the schools but also outside the schools especially on the community-basis. Consequent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structor system became settled as a legally protected policy and many government-affiliated institutions provide programs to raise gugak instructors. A Korean-specified el sistema project with traditional culture and themes was provided. The private sociocultural art education with gugak is most of the time developed and sponsored by companies. Local or governmental affiliated institutions also closely related to it in the form of Mecenat. Serotonin drum club or “Art dream project” is an example of gugak related sociocultural art education. Gugak education as sociocultural art education requires an expansion in terms of its conceptional boundary and contents, above the issue of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full of cultural diversity, gugak education as sociocultural education should closely connect to recovery of ethnic identity and national spirit, acquiring social and human sensibility, social unification, sentimental healing, and social conflicts between classes. In this regard, what and how to deal with gugak education in sociocultural art education that can comprehensively embrace such social issues brings out significant point of discussion.

한국어

사회예술교육은 사회 모든 구성원들에게 예술적 경험의 기회와 참여를 고루 제공하는 활동으로 그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틀 안에서 진행되는 국악교육의 전개를 고찰하면서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국악교육의 과제를 모색하였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정책, 기관 수립 후 진행된 다양한 교육 사업들을 하나의 연속적 사건으로 이해하면서 학교예술교육사업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국악교육관련 사업들을 고찰하였다. 2006년부터 초․중․고등학교에서 정규 교육과정 외로 운영이 시작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예술강사지원사업으로 <방과 후 학교>, 특기적성교육, <국악 강사풀제>가 운영되었다. 사업 목적은 초기의 국악 전공 청년 실업자 구제 이외에도 서양음악 위주의 교육 탈피, 청소년 국악 관심 제고, 국악교육 내실화, 국악인구 저변 확대, 학생국악교육 생활화로 문화적 감성계발 및 예술소양 증대,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청소년의 문화적 감수성 및 창의력 향상 등으로 확대되었다. 학교 예술교육은 이어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역문화예술교육과 접점을 찾아 진행되는데 <예술꽃 씨앗학교>와 <학생 오케스트라> 사업으로 이어졌다. 관 주도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국악교육은 초기 사회취약계층인 아동, 노인, 장애인, 저소득 계층과 특수계층인 교정시설과 군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2010년 교육의 대상자가 전 국민으로 확대되면서 예술교육의 영역은 학교 밖의 지역과 사회로 확대되었다. 문화예술교육사가 법적 근거를 가진 제도로 정착하여 국악교육사 과정이 현재 진행 중이며 <한국전통형 엘 시스테마 특성화 사업>이 진행된 바 있다. 민간 주도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국악교육은 주로 기업 후원형으로 메세나의 진화형태로 전개되고 있으며 각종 지자체 혹은 민과 관의 여러 기관과 연계하여 진행하고 있다. <세로토닌 드럼 클럽>과 <아트 드림 프로젝트>는 민간의 기업과 기관, 시설이 협력하여 진행하는 국악교육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사회예술교육으로의 국악교육은 전통의 보존과 전승이라는 기존 국악교육의 개념과 내용의 확장을 요구한다. 세계 문화의 다양성 속에서 한국인의 정체성 확립과 민족의 공동체성 회복, 사회성 습득과 정서, 인성, 사회통합, 치유, 갈등해소 등 넒은 의미와 목표를 포괄하는 사회예술교육으로서의 국악교육은 무엇을 담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국악교육의 주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등장의 배경
 Ⅲ.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국악교육의 전개
 Ⅳ. 국악교육 확장을 위한 과제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선 Kim, Hee-Sun.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 장윤희 Chang, Yoon-Hee. 서울대학교 국악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