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xploring the Approach to Playing the Gayageum -Based on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s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초록
영어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gayageum written in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s, for example, the history and kind, the structure and role, the tuning and gueum, the playing position and sigimsae of the instrument. Also, it aimed to explore the better approaches to playing it. Although the approaches to the gayageum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s since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this study could identify that the contents have been insufficient, or had some mistakes. From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effectiv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and playing the gayageum in the textbooks as the followings. Firstly, as the relics of the ancient gayageum had been unearthed in Sinchangdong of Gwangju and Dunsandong of Daejeon, the origin of the gayageum should be rewritten as indigenous Korean instrument made before one century, not the instrument imitated by the jang of the Chinese instrument around 6 century. Also, it would be needed the following research about that the 18 string instrument and 25 string instrument developed in the present could be included in the kinds of the gayageum. Secondly, the principle of making sound as well as the structure and role of the gayageum should be included and taught in the music textbooks in order to improve the creativity by playing the gayageum. Thirdly, the main string for tuning the gayageum and the pitch of the string as well as the gueum of 12 strings should be presented with the tuning method of the gayageum. Fourthly, a sitting position for playing the gayageum and the correct technique of right hands were explained with the related pictures, and the technique of left hands were presented by the table of the kinds and signs of sigimsae. Also, the approaches to playing the sigimsae were established by the proper repertoire for practicing deeply waved sigimsae and shortly ornamented sigimsae. Therefore, the approaches to playing the gayageum in music classes should be variously composed of the historical·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s and performing technique of the gayageum for the creative expression. Furthermore, the approaches and repertoires for instructing the gayageum by levels should be more developed and the more studies of instructing the gayageum would be followed.
한국어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가야금 관련 내용을 가야금의 유래 및 종류, 악기의 구조 및 역할, 조율법과 구음, 연주 기본자세와 오른손 연주법, 왼손 연주법과 시김새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검토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올바른 가야금 지도내용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가야금곡 감상 뿐 아니라 가야금 유래와 특징 및 연주법에 관한 내용까지 포함하게 되었지만,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가야금 관련 내용을 살펴본 결과 미흡하거나 오류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야금 연주와 관련된 바람직한 지도내용 및 방향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제시해 보았다. 첫째, 가야금의 기원은 6세기 경 중국의 쟁을 본떠 만든 것이 아니라 광주 신창동과 대전 둔산동에서 발견된 현악기를 가야금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볼 때 가야금의 기원은 기원전 1세기까지로 추정되므로 이에 대한 지도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18현금이나 25현금의 경우 가야금으로 불러야 할지 명명(命名) 기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가야금 연주로 창의성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악기의 구조 및 역할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수록하여 소리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야금 12줄의 구음은 물론, 12줄을 조율하는 데 있어 중심이 되는 줄과 그에 해당하는 음고를 제시하고 조율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넷째, 가야금 연주 시 앉는 자세 및 오른손의 바른 주법을 사진과 함께 설명하였고, 왼손 주법에 관련된 사진은 시김새 종류 및 기호와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굵게 떠는 시김새와 꺾는 시김새를 지도하기에 적절한 연습곡을 제시하여 단계에 따른 시김새 지도내용 및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렇듯 음악 수업에서 가야금 연주의 지도내용은 가야금에 대한 역사․사회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연주 기능을 익히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폭넓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가야금 지도단계에 따른 지도내용 및 제재곡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교 교육에서의 가야금 교육에 대한 실천적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목차
Ⅱ.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가야금 관련 내용 분석
Ⅲ. 음악교과서 분석 및 가야금 지도내용의 방향 모색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