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n Music (Gukak) Activities in Children’s Education Institutes and on the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and Demand for Gukak Activitie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lans for activating Korean music(gukak)activities in childhood education field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Korean music(gukak) activity programs linked to Nuri-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present condition of gukak activities taking place in preschool institutes, the teachers’ andparents’ recognition of gukak activities, and the request for the activation of thoseactivities. For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163 preschool teachers in the Seoul,Gyeonggi, Incheon areas including 242 parent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Thefollowing are the result of this survey. First, the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of gukak activities in preschool institutesshows that most of the teachers leading those activities are “outside lecturers majoringin gukak”, and the activities are usually performed once a week. Materials that the teachersconsult in performing the activities are national level programs and guide books. Also,the gukak activities are well connected with Nuri-Curriculum (the present curriculum). However, the analysis suggests that better dissemination of teacher training and teachingmaterials for gukak activities is needed because the teachers have difficulty in performinggukak activities due to the lack of previous knowledge about gukak. Second, the review of the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of children’s gukak activitiesreveals that the teachers and as well as the parents agree on the need for children’s gukak activities and that they also place a great deal of value on the aspect that children enjoytheir traditional culture and that they inherit the pride and ethnicity of the cultural traditionthrough those activities. Third, the teachers think that for revitalization of gukak activites, “gukak activityprograms connected with Nuri-curriculum”, and “the continuous support from Educationoffice or affiliated institutes” is needed. In addi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lecturesare needed and should be ‘regular’: ‘once or twice a week’, ‘two hours per lesson’ andshould be ‘practical’. Therefore, the suggestions are that ‘the development and propagationof integrated, systematic gukak activity programs linked to Nuri-curriculum’, ‘teacher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and ‘continuous support’ should be initiated. From theaspect of activating gukak activities, the parents prefer ‘weekly gukak activity classesgiven by ‘gukak-related outside lecturers’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and they wantintegrated gukak activities. Furthermore, the parents are eager to participate in theprograms if there are parents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activation of gukak activities. In addition, they consider the hour-long programs, which are held biannually or triennially,to be appropriate for them. This suggests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diffusion to theparents participating in gukak activity programs and the necessity of regularlyimplementing those programs.
한국어
본 연구는 유아 교육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유아국악활동 현황 및 누리과정과의 연계 부합 정도, 교사 및 부모의 유아국악활동에 관한 인식 조사, 유아국악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사와 학부모의 요구를 조사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국악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종합적인 방안 및 누리과정과 연계한 국악활동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ㆍ경기․인천 지역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163명과 유아자녀를둔 학부모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국악활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악활동은 교사보다는 주로 ‘국악전공외부강사’가 ‘주 1회’ 정도 하고 있으며, 교사들이 국악활동에 참고하는 자료로는 국가수준 프로그램 및 지도서이며, 현 교육과정인 누리과정과 국악활동의 연계에 대해 부합하는 것으로 보고있다. 그러나 교사들이 국악활동을 실시할 때 국악에 대한 사전지식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악활동에 대한 교사연수와 수업자료의 보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교사와 부모는 유아 국악활동의 필요성에 동감하고 있으며 국악활동이 ‘전통문화를즐기고 고유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민족성을 계승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보고 있었다. 셋째, 국악활동에 대한 인식과 국악활동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국악활동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정(누리과정)과 연계된 국악활동 프로그램’, ‘교육청 또는 연계된 기관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으며, 교사연수 프로그램 및 강연은 ‘정기적인 연수‧강습(주1~2회)’, 회당 ‘2시간’, ‘직접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육과정(누리과정)과 연계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국악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며 교사교육 및 연수,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부모는 국악활동 활성화측면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국악활동 수업이 ‘주 1회’, ‘국악관련 외부강사’가 지도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으며, 통합적인 국악활동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있었다. 또한 국악활동 활성화를 위해 학부모 참여 프로그램이 있다면 참여의사가 있으며,그 프로그램은 연 2~3회, 회당 1시간이 적합한 것으로 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부모참여 국악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과 정기적 학부모 참여 국악활동 프로그램의 시행이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