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of Folk Instrumental Appreciation Through the Use of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im to make contribution to the composition of textbook by suggesting the way of revision in the course of surveying the contents of 2009 revised music textbook of middle school. 17 music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selected. In particular, their instrumental folk music was analyzed. The findings suggest that deficiencies exist in 3 areas-Sinawi, Sanjo and the music born between dance and music. As for Sinawi, most textbooks explain that Sinawi originates from Namdo shamanism and that the basic organization for the musical instrument is Samyeongyukgak. However, it is an incorrect explanation if only Namdo shamanism is mentioned since Sinawi is divided into Namdo Sinawi and Gyeongdi Sinawi. The basic instrumental organization requires an additional explanation in the form of the instrumental ensemble since it evolves into stage music. As for rhythm, Jungmori, Jungjungmori and Gutgeori are included but with different explanations needed. However, Jungmori is not used in Sinawi, which thus requires modification. As for Sanjo, confusion occurs due to its signature western style beat; the rhythm and beats are not unified and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addition, the example used to explain Sanjo which is subject to Hanbae is unclear. Even though Sanjo is portrayed as a solo in all instruments, 11 of 17 textbooks include GayageumSanjo but do not include Ajengsanjo. Thus, more importance is given to one instrument, and thus the diversi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not expressed properly. As for the music appreciation section, which is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nd music, the explanation of accompanying music is too brief in the explanation of dance or is not existent at all. Since dance requires the accompaniment of music, the explanation of this type of music is required in order to enable dance to be understood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music appreciation. Furthermore, the accompanying music of Seungmu and Bongsantalchum is expressed through the organization of Samhyeongyukgak. If an explanation that a part of Daepungryu music such as Yeombul, Taryeong and Gutgeori, is used to represent accompanying music, this will help increase its understanding.
한국어
본고에서는 2009 개정 음악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그 내용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할 부분에 대한 향후의 수정 방향을 제시하여 교과서 구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2009 개정 음악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17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히 민속기악곡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나위 및 산조, 그리고 춤과 음악의 관계에서 나타난 음악에 대한 내용에서 미흡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나위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시나위가 남도무속에서 유래되었고, 악기의 기본 편성이 삼현육각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시나위는 남도시나위와 경기시나위의 양 갈래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남도 무속만을 언급하는 것은 부정확한 설명이며, 악기의 기본편성 또한 현재의 무대음악으로 발전하면서 기악합주 형태로 변화하였다는 부가설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등의 장단표기가 설명 부분과 다르게 수록된 경우가 있는데 중모리는 시나위에서 사용되는 장단이 아니므로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산조 부분에서는 서양식 박자표기를 따름으로 인한 혼돈이 다수 나타나고 있으며, 장단과 박자가 서로 통일되지 않게 표기되거나, 산조를 한배에 따른 악곡으로 설명하는 부분의 예시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또한 산조가 모든 악기에서 나타나는 독주곡 형태임에도, 분석대상 교과서 17개 출판사 중 12개 출판사에서 가야금산조가 수록되어 있는데 너무 한 가지 악기로 편중된 점에서 국악의 다양성이 표현되지 못하였다. 한편 춤과 음악의 관계를 파악하며 감상하는 단원에서는, 춤에 대한 설명에서 반주음악에 대한 설명이 너무 간략하게 기재되거나, 혹은 전혀 수록되어 있지 않은 점이 보인다. 춤은 반주 없이 단독으로 연행되는 것이 아니라 반주를 필수적으로 동반하므로 음악에 대한 설명이 부가되어야 그 춤을 온전히 이해하고 감상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승무와 봉산탈춤 반주 음악이 삼현육각 편성으로 표기된 부분이 보이는데 대풍류 음악의 일부인 염불, 타령, 굿거리가 반주 음악으로 사용된다는 보충설명이 더해진다면 반주음악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Ⅱ.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속기악 감상곡의 현황 및 분석
1. 민속기악 감상곡 수록현황
2. 민속기악 감상곡의 내용 분석
Ⅲ.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