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재 활용 정책에 관한 거시적 평가와 새로운 활용 정책 방향 모색

원문정보

From the Viewpoint of Value Enhancement, the Macro Evaluation and Direction of Policy Concerning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류호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are actively utilizing cultural heritage which regarded as an object to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I analyzed the outcome, limitations, and problems, and sought the new policy direction of utilizing cultural heritage. That’s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supported by the efforts of several mail agents in charge of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has achieved remarkable results in the past. For example,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enjoyment through opening more cultural heritage, the qualitative growth by the development of various enjoying programs,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private partnership system and the securing actors in the field, building the system of developing and supplying cultural heritage contents by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re all the fruits we haver achieved. And it’s the time to elevate the level by pursuing qualitative utilization that focuses on the essential meaning and value of cultural heritage. We have to utilize the total value of the cultural heritage. Concretely, it is necessary for us to realize value-centered utilization focusing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heritage, total utilization to find and share various values of cultural heritage, the utilization led by the local community which is the owner of the heritage and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nd we also focus on multidimensional utilization by using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ies, secondary utilization of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as creative material of various genres. Furthermore, we will carry out the tasks such as rich utilization by tearing down the walls between the various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nd connecting them, future-oriented utilization to reinforce education and to go with the weak class and region. It’s the new policy direction we will pursue. We can further enhance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by appropriately reflecting the achievements, limitations, and environmental changes so far. It is a way to achieve sustainable cultural properties.

한국어

오랫동안 보존 대상으로만 여기던 문화재를 점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동안의 문화재 활용 정책 성과와 한계, 문제점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해보고 앞으로의 문화재 활용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내용이다. 문화재 활용은 지금까지의 성과를 바탕으로 문화재의 의미와 가치에 주목하는질적 활용을 추구하는 것으로 한 단계 고도화할 때가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재의 본질적 의미에 주목하는 가치 중심 활용, 문화재가 갖는 다양한 가치를 찾고 나누는 총체적 활용, 문화재의 주인으로서 지역과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활용, 첨단 정보기술을 충분히 이용하여 효과를 높이는 다차원적 활용, 문화재의 가치를 여러 장르의 창작 소재화하는 2차적 활용, 벽을 허물고 다양한방식으로 연계·융합하는 풍부한 활용, 문화재 교육과 취약 계층·지역과 함께 하는 미래지향적 활용 등이 앞으로 문화재 활용 정책이 추구해야 할 방향이다. 그동안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환경 변화 등을 반영하여 문화재 활용 정책을수립하고 현장 실정에 맞는 적절한 사업으로 이것을 실행할 때, 문화재의 가치를더욱 증진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문화재 활용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문화재 활용 정책의 성과와 과제
 III. 문화재 활용 정책의 새로운 방향
 IV.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류호철 Ryu, Ho-cheol. 안양대학교 교수, 문화재 정책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