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禮記』와 『墨子』의 孝道觀---喪葬觀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Viewpoint of Filial Piety in 『Yeki(禮記)』 and 『Mookja(墨子)』 : Focused on the Viewpoint of Funeral Ceremony

『예기』와 『묵자』의 효도관---상장관을 중심으로

공병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have discussed the viewpoint of filial piety in Confucianists’ 『Yeki』 and Mohists’ 『Mookja』 to examine the viewpoint of funeral ceremony in pre- Qin Dynasty which shows outstanding differences.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ancient China, the age of great renovation in the Chinese history and society, the contemporary traditional culture not only had no controlling power but also required new academic ideology. As a result, the situation opened the era of the Debate of Hundreds Schools of Thought(百家爭鳴). This phenomenon passed over and ever in the midst of the competition of those Schools, and the typical Schools were Confucianists, Taoists, and Mohists. The concept of the funeral ceremony in that period was an important aspect of social lives and each School showed its own position concerning ancient custom, religion, and etiquette systems. Especially, Confucianists and Mohists had sharply divided opinions, representing obvious and elaborate viewpoints. Accordingly, I have discussed their viewpoint of filial piety separately to explain that of funeral ceremony in 『Yeki』 and 『Mookja』.

한국어

본고는 유·묵 兩家의 저서인 『禮記』와 『墨子』를 통해 현격한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는 선진시기 상장관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兩書의 효도관을 논하였다. 春秋戰國 시기는 중국역사와 사회의 대변혁의 시대로서 당시의 전통문화는지배력을 상실하고 새로운 사상을 요구하는 환경이 조성 되는 학술사상이 매우활발한 시기였다. 그 결과 학술번창의 시대를 초래하는 百家爭鳴의 시대를 열었다.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학술사상이 경쟁하면서 傳承을 이어 나갔는데 그 대표적인 학파가 바로 유가·도가·묵가의 3대 학파이다. 이 시기의 喪葬 관념은 사회생활의 중요한 일환으로서 고대 풍속, 종교, 예의제도에 대하여 각 학파마다 다양한 입장을 논하고 있다. 특히 儒家와 墨家는 상 장관념에 대해 분명하고 치밀한 관점을 표방하며 대립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예기』와 『묵자』의 상장관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그들의 효도관을 구별하여 논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孝道 ― 사람의 근본
  1. 『禮記』의 孝道觀
  2. 『墨子』의 孝道觀
 III.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공병석 Kong, Byung-suk. 계명대학교 타블라 라사 칼리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