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國 南北朝時代 佛敎造像碑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Buddhist Stele in Northern Dynasties of China

중국 남북조시대 불교조상비 연구

蘇鉉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iscusses the Buddhist stele that was popular in the northern area of China in the 6th century,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its forms, components, patrons and functions. Buddhist stele is a combination of Chinese monumental culture with the Buddhism that was born in India, and it is a representative art showing the Sinicization of Buddhist art. Therefore, it inherits the stele of Chinese tradition in various aspects such as shape, content, and function etc. The shape of Buddhist stele can be divided into a tetrahedral shape and a stele shape. The tetrahedral type originates from the small tower or the central pillar of the grotto, and the monumental form originates from a traditional stone stele in China. Most of the Buddhist steles were made of ‘Yiyi(義邑)’, a local religious association, not an individual. The Yiyi of northern China in the 5th to 6th centuries is a religious association composed mainly of local residents under the leadership of local bureaucrats, local powers and local monks. The Yiyi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tegration and control of the people in place of their dynasty. To accomplish this, Yiyi did public works on behalf of the state power, and then erected Buddhist stele to commemorate them. They expressed Buddhist icons and described their appearance, and further recorded the reasons for the erection of the stele, the names of the patrons, and their wishes. The stele is a monument of public nature that is erected to tell people something. Buddhist stele have similar functions. Therefore, the Buddhist steles were often erected in public spaces such as well where people gather in large numbers, and traffic routes where people come and go frequently. It also played a major role in Buddhist rituals of local people as a monument to the community.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 남북조시대, 특히 6세기에 華北地域을 중심으로 유행했던 불교조상비의 형태, 구성요소, 조성 주체와 기능 등을 고찰, 중국 불교조상비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시도한 것이다. 불교조상비는 인도에서 유래하는 불교에 중국의 전통적인 石碑文化를 결합한것으로, 불교예술의 漢化를 보여주는 대표적 예술이다. 그러므로 형태, 내용, 기능 등 여러 방면에서 중국 전통의 석비문화를 계승하고 있다. 형태는 먼저 四面體型과 石碑型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사면체형은 造像 塔이나 석굴의 中心柱窟에서, 석비형은 중국의 전통적인 石碑에서 각각 유래한다. 6세기 후반에는 석비 형태가 주류를 점하게 된다. 조상비는 대부분 개인이 아니라 지방의 종교적 신앙결사단체인 ‘義邑’에 의해 제작되었다. 북조의 의읍은 지역의 관료나 유력인 등의 在地勢力, 그리고 지방 의 敎化僧侶 등의 주도 아래 지역민을 주요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신앙결사단체 로, 국가권력을 대신해 지방민의 융합과 통제에 중요한 기능을 했다. 이를 위해 도로건설 등의 公共事業을 하고 이를 기념하는 조상비를 건립했으며, 또한 불교 大乘思想을 기초로 지역사회 통합에 필요한 종교적 활동의 일환으로 조상비를 제작하기도 했다. 그들은 조상비 안에 불교적 도상과 자신들의 모습을 畵像으로 표현하고, 나아가 중국의 석비문화를 계승해 조상비 건립의 이유, 건립자의 이 름, 그리고 誓願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석비는 원래 대중에게 무언가를 알리기 위한 공공적 성격이 강했는데, 조상비 역시 마찬가지였다. 사람들이 다수 모이는 개방적 공간이나 사람들의 왕래가 잦 은 交通路 등의 公共場所에 건립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記念 物로서 지방민들의 佛敎 儀禮活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불교조상비의 形態
 III. 불교조상비를 구성하는 것: 佛敎圖像과 造像記, 그리고 供養人
 IV. 불교조상비의 造成 主體와 機能
 V.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蘇鉉淑 소현숙. 원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