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揚雄의 『方言』에 수록된 北燕지역 어휘 고찰 : 漢代 北燕지역과 여타 ‘방언권’ 어휘의 친연관계 및 그 언어적 정체성 탐구

원문정보

On the Northern Yen(北燕)’s regional vocabulary in the Yang Xiong(揚雄)’s Fang Yan(方言) of Han Dynasty

양웅의 『방언』에 수록된 북연지역 어휘 고찰 : 한대 북연지역과 여타 ‘방언권’ 어휘의 친연관계 및 그 언어적 정체성 탐구

鄭載男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Fang Yan(方言) is the earliest direct dictionary not only in China but in linguistical history of the world, which was compiled by Yang Xiong(揚雄), a distinguished philologist, scholar and royal emissary, on ancient Chinese words not being used at that time(絶代語) and current dialects of individual sub-state provinces(別國方言) including newly annexed ethnic minorities’ languages before and in the time of Han(漢) dynasty. The book described many dialectal vocabularies with synonymous words of other regions including Northern Yan(北燕) area’s and Chosun(朝鮮) area’s, both of which had been former territory of Kochosun(古朝鮮) kingdom but were annexed respectively through war by Kingdom of Yan(燕) in early BC 3 century and Han in BC 108.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Northern Yan’s regional vocabularies in Fang Yan, it reveals that the regional words had been almost isolated from those of Yan(燕) area, while which was geographically adjacent to and politically belonged to the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for nearly three centuries since their annexation. Northen Yan’s words also had very low verbal relationships with other region’s dialects except for Chosun’s under Han dynasty’s reign. The lexicon of Northern Yan shows a deep affinity with those of Chosun area, holding 26 common words, about half of the whole 55 vocabularies of Northen Yan and more than 80 percent of the whole 32 vocabularies of Chosun, while which had few common words with all other dialect regions except for Northern Yan in Han’s territory. Therefore, the languages of Northen Yan and Chosun areas could be grouped by isogloss line in linguistic geography and be categorized as the same language group, an assumed proto-Korean language of Kochosun, holding a quite different identity from ancient Chinese language. Through this analysis, we have gotten new empirical evidences that language of Chosun area sharing mass common vocabularies with Northern Yan had been hardly influenced by ancient Chinese language of new immigrants from mainland China in cases of each political turmoil including foundations of so-called Gija-Chosun(箕子朝鮮) and Yuman-Chosun(衛滿 朝鮮), transitional confusion from Qin(秦) dynasty to Han(漢) dynasty and establishment of the Four Commanderies of Han(漢四郡) etc. The result is far from the argument of some preceding researches based on a longtime existing stereotype that is the languages of Northern Yan and Chosun area had been belonged to dialects of ancient Chinese language. The above conclusion could provide valuable clues and evidences for re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es and shed light on tracing the origin of the Korean language.

한국어

중국 및 세계 언어학상 최초의 방언 어휘 조사기록인 前漢 말 揚雄(BC 53- AD 18년)의 저서 『方言』에는 고조선 멸망(BC 108년) 이후 약 1백년이 경과한시기의 ‘朝鮮’지역 어휘와 함께, 과거 고조선의 영역이었으나 燕에 의해 중국에일찍 편입된(BC 3세기 초) ‘北燕’지역의 어휘가 다수 기록되어 있다. 『方言』에 수록된 北燕지역 어휘 분석 결과, 지리적으로 바로 인접한 燕지역과는 거의 공통어휘가 없는 절연 상황이었고, 중국내 여타 방언권과의 연계성도 매우 적어 언어적 고립도가 매우 높은 반면, 北燕 전체 어휘(55例)의 약 절반(26例) 이 朝鮮지역 전체 어휘(32例) 가운데 약 80%가 넘는 어휘와 공통되는 높은 친연성을 보여준다. 이는 언어지리학적으로 북연과 조선지역이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等語線 개념이 적용되는 동일 언어권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당시 漢의 판도내 여타 지역과는 달리 별도의 정체성을 가진 독자적 언어권인 ‘古朝鮮語’ 사용지역이었을 개연성이 매우 크다. 아울러 『方言』에 수록된 각 지역별 어휘의 상당수 특히 중국에 새로 편입된 소수민족 지역의 어휘는 대개 그 발음 및 의미와 유사한 당시의 漢字를 차용하여표기한 聲借(音借) 방식이었으나, 북연 및 조선지역의 언어를 고대 중국어의 支 流(방언)로 분류하는 일부 선행연구의 주장은, 先代 중국문헌에서 사용된 동 漢 字의 前例 및 後代의 漢字중 유사한 글자에서 그 근거를 찾음으로써, 분석방법론상 치명적인 논리적 결함과 함께 설득력이 떨어짐을 지적하였다. 또한 『方言』에 수록된 전체 방언권 어휘 사이의 공통어휘 및 친연 관계에 대한통계적 분석을 통해, 일부 선행연구의 주장이나 기존 다수의 관념적 인식과는 달리, 북연 및 조선지역의 어휘에는 소위 ‘箕子朝鮮’이나 衛滿朝鮮의 성립 및 秦 漢 교체기의 혼란과 漢四郡 설치 등 각종 정치적 동란 계기에 당시 中原지역을포함한 중국대륙으로부터 남만주(北燕) 및 朝鮮지역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새로운 이주민의 언어적 영향이 매우 적었다는 객관적인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이 지역에 새롭게 유입된, 上古시기 중국어를 사용하는 漢人계 이주민 규모가 원주민(고조선계) 사회의 언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만큼 적었거나, 아니면 이주민의 主流가 원래 고조선계(非漢人系)로서 고조선의 북연지역 상실이후에도 秦 長城 일대를 포함한 華北 및 東北지역에 계속 거주하다가 각종 계기에 朝鮮지역으로 대규모로 이주하였지만 본래 언어적으로 같은 계통이었기에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을 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方言』에 수록된 前漢 末期 당시의 북연 및 조선지역 어휘는 동일한 언어권으로 분류할 수 있고, 이 언어의 어휘 특히 朝鮮지역 어휘는 당시 中 原을 포함한 漢의 판도 내 여타 지역의 언어(고대 중국어)와의 공통어휘 및 친연성이 매우 적었다는 객관적 사실이다. 이는 언어학 차원을 넘어서 역사학 등 관련분야 연구에서도 참고해야 할 분석 결과로서, 기존 연구의 재검토 필요성과 함께 관련 문헌자료가 거의 없는 上古시기 한국어의 연원을 찾는 연구에서 새로운방향을 모색하는 데에도 귀중한 단서와 논거를 제공해줄 수 있다고 하겠다.

중국어

前汉末年扬雄(公元前53年-公元18年)所著的《方言》一书是中国及全世界范围 内语言学最早的方言词汇调查记录。 书中记载了不少古朝鲜灭亡(公元前108年) 近百年后“朝鲜”地区的词汇, 以及过去曾是古朝鲜领域, 后被燕国吞并而成为中国 领土(公元前3世纪初)的“北燕”地区词汇。 根据《方言》中收录的北燕地区词语分析结果显示, 北燕地区词语与地理上相接 壤的燕地区词语之间几乎不存在共通词汇, 处于语言上相互绝缘的状况, 同时也与 中国内其他方言圈关联甚少, 语言孤立性非常高。 反之, 全部北燕方言词汇(55例) 中将近一半(26例)与朝鲜地区方言词汇(32例)中超过80%的词汇是共通的, 体现 出了相通程度较高的亲缘性。 由此我们可以利用在语言地理学上所使用“等语线” 的概念将北燕和朝鲜地区划分为使用相同语言的同一语言圈,属于具有自身认同 性(identity)的独立语言圈--“古朝鲜语”使用区域的可能性极大, 而不同于当时 汉代版图内的其他地区。 同时, 本论文指出,《 方言》中收录的大部分词语, 尤其是新并入中国版图的少数 民族地区词语大致都是借用当时与其发音和意义相似的汉字进行标记的, 即采用 了“聲借(音借)”的标记方式。 而部分先行研究将北燕和朝鲜地区的语言划分为古 汉语的支流(方言), 这些主张在先秦及汉代中国文献资料中曾出现的汉字范例和 后代使用的汉字用例之中寻找到相似的汉字并以此为论断依据, 这种研究方式在 分析方法论上存在致命性逻辑缺陷, 不具说服力。 此外, 本论文通过对《方言》中收录的所有方言圈词汇之间共通词汇及其亲缘关 系进行统计分析后, 得出一个与部分先行研究的主张和现有的大多数观念性认识 不同的客观结果, 推其緣由可能为所谓“箕子朝鲜”或卫满朝鲜的建立以及秦汉交 替时期的混乱, 汉四郡的设立等各种政治动乱而导致的当时从中国大陆(包括中原 地区)流入东北(北燕)及朝鲜地区的新移民们几乎并未对这一地区的语言产生任 何影响。 基于这一点我们可以推测, 或许是新迁移至该地区所使用古汉语的汉人 系移民规模并不大, 不足以对这一地区的原住民(古朝鲜系)社会的语言产生影响,又或许是这些移民的主流本来就是古朝鲜人(非汉人系), 在古朝鲜丧失了北燕地 区领土之后仍然居住在包括秦长城一带在内的华北和东北地区, 后又因各种契机 重新大规模迁移至朝鲜地区, 由于他们的语言和朝鲜地区语言本属同一体系, 是以 并未对该地区语言产生什么特别的影响。 毋庸置疑的一个客观事实就是,《 方言》中收录的前汉末期北燕和朝鲜地区词汇 可以划分为同一语言圈, 该语言特别是朝鲜地区的词汇与当时包括中原在内的汉 代版图内其他地区语言(古汉语)之间亲缘性极小。 这一分析结果应该超越语言学 的层面, 在历史学等相关领域的研究中也具有参考价値。 同时, 我相信此研究成果 也将为研究重新探讨现有相关研究的必要性, 为几乎没有相关文献资料的上古韩 国语的溯源研究探索新的研究方向提供珍贵的线索和依据。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方言』의 구성과 특징
  1. 『方言』의 편찬 경위와 학술적 의의
  2. ‘別國方言’의 개념
  3. 『方言』의 구성, 완성도 및 기술형식
  4. 漢代 언어권(‘方言圈’) 분류
 Ⅲ. 『方言』 상의 北燕지역 어휘 분석
  1. 北燕지역 전체 어휘의 구성 및 분류
  2. 다른 언어권과의 친연관계 : 공통어휘의 빈도 및 분포
  3. 北燕 및 朝鮮洌水지역 어휘의 언어적 정체성 분석
  4. 北燕·朝鮮지역 공통어휘 형성의 역사적 배경 및 시사점
  5. 北燕지역 어휘의 先秦문헌상 용례 및 後代의 傳承 고찰
 Ⅳ. 맺음말
 부록 : 『方言』상의 北燕 및 朝鮮지역 어휘목록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鄭載男 정재남. 現任 駐武漢大韓民國總領事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