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적 커뮤니티 특성이 거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자료(2016)를 활용한 실증분석

원문정보

Association between social community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 Empirical evidence from Gyeonggi survey data in 2016

김주현, 안용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ising housing rent and sale price in Seoul has been leading t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Gyeonggi Province. Particularly, after the large-scalehousing development projects were completed in 2010, the existing population flow has more than doubled already, and residential movements are expected to acceleratefurther. As a result of these population movements, the quality of life such as housing, transportation, and infrastructure will decline in the physical environmental aspect. Empirical analysis of residential indexes which are regarded to affect indwellers' life quality was also performed, including community facilities, transportation, nonphysicalfacilities, et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n the life quality of indwellers was purchasing spot of daily items, which is the physical community facility,followed by neighborhood fellowship. To enhance the life quality of indwellers, physical community facilities and programs to increase the level of neighborhood fellowship,which is nonphysical community factor, are both required.

한국어

서울지역 주택 전세 및 매매 가격 상승으로 경기도 지역으로 유입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0년 대규모 주택공급이 이루어진 이후 기존에 유입되던 인구가 두 배 이상 증가하였고, 주거이동은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역 간 주거이동 결과 인구가 증가한 지역의 경우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주택, 교통, 기반시설 등 생활의 질이 하락하게 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거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물리적 시설, 교통, 사회적 특성 등의 주거환경 지표를 추출하여 순위형 로짓 모형을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거주민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물리적 시설인 근린생활시설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이웃과의 유대감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 거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리적 시설 공급과 함께 사회적 특성인 이웃과의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근린 단위의 프로그램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2.1. 커뮤니티와 삶의 질
  2.2. 선행연구 검토
 3. 실증분석 개요
  3.1. 가설설정 및 변수구축
  3.2. 분석방법
 4. 실증분석 결과
  4.1. 기초통계량
  4.2. 실증 분석결과(순위형 로짓모형)
 5. 결론 및 시사점
 주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주현 Kim, Ju Hyun.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학과 박사수료
  • 안용진 Ahn, Yong Jin. 대구대학교 행정대학 도시・지역계획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