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Intra-Urban Migration Pattern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School-Age Population in Seoul
초록
영어
Changes in the school-age population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public-facilities planning in the c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number of students and to grasp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s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udents in Seoul and to analyze school-age population migration patterns. The results show some differences in spa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school age. The distribution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and middle-school students is similar, but the distribution of high-school students is different. In addition, the movement of elementary- and middle-school students is highly correlatedwith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hile the migration pattern of high-school students has no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vate institute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 is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ousing price and housing type among the clusters, when the clusters are classified based on the student net-migration rate. This study examines the intra-urban migration of the school-age population within the city of Seoul only. Future study will deal with students’ mig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ince regional migration between Seoul and Gyeonggi has increased recently due to housing-related issues.
한국어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는 교육기관과 교육제도는 물론 문화시설, 체육시설 등 공공시설 유지와 운영에 변화를 초래하며, 학생 수 변화와 공간분포는 도시의 공공시설 운영계획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역의 학령인구변화를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저출산으로 인한 학생수 감소 추세 뿐 아니라 학령인구의 이동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공간적 범위로 하여 25개 자치구 학령인구의 공간적 분포와 인구이동 패턴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학령인구이동과 관련 있는 변수들을 파악하고 서울시 자치구를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학령인구이동의 관점에서 서울시 자치구들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비교한다. 분석결과, 학령연령에 따라 공간분포의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연령별 분포특성을 살펴본 결과, 전체인구 중 미취학 아동(0-만5세)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구로구이며, 초등학생(만6-11세)은 양천구와 서초구에, 중학생(만12-14세)과 고등학생(만15-17세)은 노원구, 양천구, 서초구, 강남구 등에 밀집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순이동을 살펴보면 학령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자치구별 순이동이 비슷한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순이동(전입-전출)은 사설학원수와 교육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반면 고등학생의 순이동은 초·중학생의 순이동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고등학생 순이동은 초등학생과 중학생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사설학원수나 교육만족도 등과도 유의미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서울시 자치구들을 학령인구 이동에 따라 유형화함으로써 학교급별 학생의 이동에 있어 지역적으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양천구와 강남구는 미취학아동, 초등학생, 중학생의 유입이 매우 많은 지역이며, 고등학생은 유출이 많은 지역이다. 서초구와 송파구는 지역적으로 강남구에 인접해 있지만 학령별 이동에 있어 차이점을 나타냈다. 서초구, 강남구, 서초구는 미취학아동 순유입이 발생하는 것은 공통적이지만, 서초구는 초·중·고 학생은 순유출이 나타나고 송파구는 초·중학생은 순유출, 고등학생은 순유입이 나타났다. 이는 학원밀집도, 사업체밀도 등의 다른 지역요인의 차이가 학교급별 학생의 이동에 있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서울시내 이동에만 한정하여 학령인구 이동을 살펴보았으나, 최근 서울거주 3040세대 유자녀가구들이 전세난과 가격대비 더 나은 주거환경을 고려하여 서울을 벗어나 경기도로 이동하는 경향이 계속적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학령인구가 서울 지역 이외의 수도권 지역으로 많이 이동하고 있으므로, 향후 수도권 범위의 이동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2.1. 이론적 배경
2.2. 선행연구 검토
3. 서울시 학령인구의 공간적 이동패턴 분석
3.1. 연구의 분석틀 및 연구방법
3.2. 서울시 학령인구의 공간적 분포
3.3. 서울시 학령인구 이동 분석
4. 사울시 학령인구 이동 패턴 유형화
4.1. 지표 설정
4.2. 유형화를 위한 군집 분석
4.3. 유형별 지역특성 비교
5. 분석결과 요약 및 결론
5.1. 분석결과
5.2. 정책적 시사점
5.3. 결론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