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the Use of Employment Programs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jobs for youths by designing/operating an employment program with high student satisfaction through the suggestion of prerequisites of essential employment programs by using/verif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y Davis(1989), regarding the effects of all sort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expansively performed by universities. Total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direct interview, and total 18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Excluding questionnaires including students with no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employment programs, insincere responses, and missing values, total 17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In order to prove the validity of results of testing a hypothes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nstrument was tested in advance. In order to prove the validity of results of testing a hypothes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instrument was tested in advance. And to this e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measured variables was made by using SPSS 18.0 K after being divided into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with regard t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MOS 18.0, measurement model, was used after being divided into exogenous variable and endogenous variabl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on top of presenting the direction to improve/use programs helpful to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in case when universities perform employment programs, this study also reviews the importance in the po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this study was limitedly performed targeting only enrolled university students of four-year-course universities in Seoul,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dditional researches subdividing university students in each school and region afterwards. Second, it is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s to all the university students as the researcher randomly selected some four-year-course universities in Seoul except for college students. Therefore, it w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of results through researches using the systematic sampling methods in the future. Third, even though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in each affiliation, the purpose and goal of each department could be different,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segmentalized research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대학에서 확대 실시하고 있는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을 활용, 검증하여 실제적으로 필요한 취업프로그램의 선결조건 등을 제시하여 학생 만족도가 높은 취업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함으로써 청년 일자리 창출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지는 직접면접을 통해 총 200부가 배부되었고, 18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들 중 취업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없는 학생과 불성실한 응답자, 결측값을 제외하고 총 173부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측정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을 선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측정 변수들을 수렴 타당성 및 판별 타당성으로 나누어 SPSS 18.0K를 이용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외생 및 내생변수로 나누어 측정모형인 AMOS 18.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학에서 취업프로그램을 실시함에 있어서 교육 만족도를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의 개선 및 활용의 방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대학 기관이 아닌 대상자인 대학생들의 입장에서의 중요성을 조명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다만,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한계점은 추후 학교별, 지역 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세분화 또는 구분화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전문대 학생들을 제외한 서울 소재 일부 4년제 대학교를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하였다는 점은 연구 결과를 모든 대학생들에게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추후 체계적인 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계열별로 대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였지만, 학과별 목적과 목표의 차이가 있기에, 각 학과별 특성에 맞는 세분화 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취업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2.2 기술수용모델에 관한 연구
2.3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및 변수 설정
3.2 연구가설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3.4 설문조사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4.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4.2 측정 변수의 타당성 분석 및 신뢰도 분석
4.3 전체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4.4 가설검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