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에서 양명학 관련 문헌의 수용 양상 - 16세기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cceptance Patterns of Yangmingxue Related Books in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16th century -

김시내, 송정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initial acceptance pattern of Yangmingxue(陽明学) in 16th century: Focused on how literature on Yangmingxue got into Joseon Dynasty and how scholars reacted to it ever since Yangmingxue appeared in Ming Dynasty. The inflow of Yangmingxue including The Chuan Xi Lu(傳習錄) by Wang Shouren(王守仁) into Joseon Dynasty occurred in 16th century. It is the time when the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got intensified and various levels of discussion had been attempted. The massacre of scholars and antipolitics evoked reflection on existing Neo-Confucian value and exploring new alternatives, and consequently Yangmingxue could be adopted. At the same time, Yangmingxue also got criticized, with Neo-Confucianism strengthened itself as the basis of national ruling order. Scholars of Chungju region played a large role in the initial acceptance of Yangmingxue through The Chuan Xi Lu, and followers of SungHon(成渾) school served a certain role in passing down Yangmingxue. However, literature on Yangmingxue could not be published because it was suspected as a target of criticism. Ryu Seongryong(柳成龍) had to transcribe A collection of Yang-ming’s works(陽明集) by hand and keep it to read. Critical literature on Yangmingxue such as Yi Duan Bian Zheng(異端辯正) by Zhan Ling(詹陵), Kun Zhi Ji(困知記) by Luo Qinshun(羅欽順), and Hsueh Pu Tung Pien(學蔀通辨) by Chen Chien(陳建), published and distributed as metal movable type or woodblock edition, engaging with reverence for original Zhuzixue(朱子學). There-through, the logic of literature on anti Yangmingxue could be easily spread. This phenomenon shows it’s tendency to distinctively accept studies in Joseon Dynasty. Yangmingxue could be one example in many cases which literature about reason and theory differed from mainstream Joseon Dynasty in 16th century got banned and thus couldn’t be widely disseminated.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명대에 양명학이 발생한 이래로 양명학 관련 문헌이 조선에 어떤 배경에서 유입되고, 학자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16세기를 중심으로 초기 수용 양상을 탐구하였다. 왕수인(王守仁)의 『전습록』을 위시한 양명학 문헌의 조선 유입은 16세기에 이루어졌다.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고 다양한 차원의 논의가 시도되던 때이다. 사화와 반정으로 기존의 성리학적 가치관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모색이 시도되면서 양명학 수용이 가능하였고, 동시에 성리학이 국가통치 이념으로 강화됨에 따라 양명학도 비판되었다. 『전습록』을 통한 양명학의 초기 수용에서는 충주 지역 사림들이 큰 역할을 하였으며, 우계학파에 속한 인물이 양명학 전승에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그렇지만 양명학 문헌은 비판의 대상으로 간주되어 인쇄․출판 되지 못하고 필사되어 유통되었다. 유성룡도 『양명집』을 필사하여 보관해 두고 읽었다. 첨릉(詹陵)의 『이단변정』, 나흠순(羅欽順)의 『곤지기』, 진건(陳建)의 『학부통변』 등 양명학 비판 문헌은 정통 주자학 존숭의 분위기와 맞물려 금속활자 또는 목판으로 간행․배포되어 양명학 비판에 관한 논리가 쉽게 확산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16세기 조선에서 주류의 범주에서 벗어난, 혹은 국가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사유와 학설을 다룬 문헌들이 금서화되어 널리 보급되지 못한 여러 사례 중에 양명학이 해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초록>
 
 1. 서론
 2. 명대 양명학의 발생과 주요문헌
  2.1 양명학의 발생
  2.2 양명학의 주요 문헌
 3. 조선에서 양명학의 수용 배경
  3.1 16세기 사림의 학문적 경향
  3.2 『상산집』의 간행
 4. 조선에서 양명학 관련 문헌의 수용 양상
  4.1 양명학 문헌의 수용
  4.2 양명학 비판 문헌의 수용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시내 Kim, Si-nae.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 송정숙 Song, Jung-Sook.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