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투자자 지식수준에 따른 소비자 유형별 교육방식 선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reference of Investor Education Methods: Focusing on Consumers with Low Level of Investment Knowledge

이건, 박주영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3권 3호 2017.09 pp.95-121

doi:10.15790/cope.2017.13.3.09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pecialized knowledge and informations related to investment are needed because investment is not only profitable but also risk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in their understanding of such complexity and expertise. Consumers with poor investment knowledge are expected to face many difficulties in coping with social changes. In this study,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investment knowledge level: smart, intermediate, and vulnerable. We compared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preferred education type, methods of education, contents of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organ of education among the three group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are the raw data of the 2015 Fund Investor Survey, which was investigated by the Korea Financial Investment Associ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crossover analysis and GLMM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cases is 2,530, and those who received below-average scores in all three categories (fund investment knowledge, fund product knowledge, and financial knowledge) were classified as those with low investment knowledge. These were 665 individuals, accounting for 26.3% of the tota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who are in twenties, thirties and sixties and over, women, low-educated person, contract workers, small self-employed, temporary workers and unemployed persons are likely to be vulnerable to investment knowledge. In addition, People who live in local city, low income, and divorced or widowed persons are more likely to be consumers with low level of investment knowledge. Second, people who are in low risk tolerance are likely to prefer short-term education. Third, with respect to preferred education metho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risk tolerance and consumer type according to investment knowledge level. In conclude, it would be efficient that investment education in the future customize programs by age, risk tolerance, and consumer type according to investment knowledge level.

한국어

과거에 비해 학업 연장이나 취업난 등의 이유로 소득활동 기간이 줄어든 반면 평균 수명은 늘어나, 종신 때까지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자가 소유한 자산의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투자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투자 상품들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운용에 있어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가 필요하므로 투자지식이 취약한 소비자들은 이러한 사회변화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들 투자지식 취약 소비자들의 특성이나 교육경험 및 선호하는 교육방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이 조사한 2015년 펀드투자자 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하여, 조사대상자들을 투자지식 수준에 따라 유형화한 다음, 각 유형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교육실태 및 선호하는 교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20대와 30대, 60대 이상에서 투자지식 취약소비자가 될 가능성이 높았고, 여성, 고졸 이하, 계약직, 소규모 자영업자, 임시직, 무직자 일수록 투자지식 취약소비자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저소득 일수록, 서울이나 수도권 거주자에 비해 지방 거주자의 경우, 기혼자에 비해 미혼자, 이혼 및 사별상태 일수록, 투자성향이 안정형 일수록 투자지식 취약소비자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투자성향이 안정적일수록 단기 교육을, 공격적일수록 장기 교육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투자자 교육방식, 즉 교육유형,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주최기관에 대한 선호는 투자자 개인의 특성 중 특히 투자지식 수준에 따른 소비자 유형과 연령, 투자성향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투자지식
  2. 투자자 교육
 Ⅲ. 연구문제 및 방법
  1. 연구문제
  2.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3. 연구방법
  4. 변수의 정의 및 측정방법
 Ⅳ. 연구결과
  1. 투자지식 수준에 따른 유형별 인구사회학적 특성
  2. 투자지식 수준에 따른 유형별 교육 경험 정도
  3. 투자지식 수준에 따른 유형별 선호 교육방식 비교
  4. 선호 투자자 교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건 Li, Jian. 충남대학교 소비자생활정보학과 석사
  • 박주영 Park, Joo-yung. 충남대학교 소비자생활정보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