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의 주체미학과 화장문화(Make-up)에 관한 연구: 화장행태와 사회적 인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Juche Esthetics and Make-up of North Korean Women : Focusing on Make-up Behavior and Social Identity

남성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rth Korean society pursues Juche aesthetics in a closed reality that refuses to reform and open to the outside world. In Juche aesthetics, the beauty of social life rather than that of the individual is deemed more valuable to pioneer human life more beautifully. The beauty of nature is also assessed on the basis of social values. The most beautiful beauty in North Korea is the unity of loyalty that absolutely believes in and respects supreme leader, based on the ideological and moral appearance of patriotism. It is necessary for the microscopic analysis of North Korean society to grasp the implications of women’ s political socialization through the actuality of cosmetic culture of North Korean women. Women recognize the presence and identity of women through appearance.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manage women’ s make-up culture within the intangible regulation of certain social myths. Traditionally, women’ s make-up culture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individual aspect of the individual's beauty and social myth are at the point of contact. In an authoritarian society like North Korea, the make-up is the process of making the exquisitely connected beauty of individual with the regime’ s control.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reality of cosmetic culture of North Korean women, I conducted 60 basic questionnaires on 167 North Korean defectors. Qualitative approach was also complemen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한국어

북한사회는 개혁과 개방을 거부한 폐쇄적인 현실 속에서 북한식 주체미학을 추구한다. 주체미학에서는 사회생활의 미, 투쟁의 미를 더 귀중히 여기고 인간생활을 보다 아름답게 개척해나갈 것을 요구한다. 또한 자연의 아름다움도 사회적 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북한에서 제일의 아름다움은 장군님을 절대적으로 믿고 받드는 충성의 한마음, 조국을 받드는 애국의 한마음을 지닌 사상・도덕적 풍모이다. 북한 여성들의 화장문화 행태를 통해서 여성들의 정치사회화 함의를 파악하는 것은 북한 사회에 대한 미시적 분석차원에서 필요하다. 여성들은 외모 가꾸기를 통해 여성의 존재감을 인식한다. 북한 당국은 일정한 사회적 통념이라는 무형의 규제 속에서 여성들의 화장문화를 관리한다. 통상적으로 여성들의 화장문화는 개인의 아름다움에 대한 개성적인 측면과 사회적 통념이 접점을 찾는 지점에서 형성된다. 북한과 같이 권위주의 사회에서는 사회통제라는 절제된 아름다움과 여성 개인의 아름다움 및 개성이 절묘하게 연결되는 과정이 화장문화(make-up culture)다. 본고는 북한 여성들의 화장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167명을 대상으로 60개 항목의 기초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심층집중인터뷰를 통해 질적인 분석을 보완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북한여성의 화장 행태와 정치사회화 함의
  1. 여성화장과 사회적 도덕
  2. 북한여성의 화장실태와 특성
 Ⅲ. 북한의 화장품 산업 육성과 소비실태
 Ⅳ. 북한 여성의 화장 문화(make-up) 실태와 함의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조사 결과와 함의
 V. 북한 화장 문화 변수간 교차분석 결과와 함의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남성욱 Sung-wook Nam. 고려대 행정전문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