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양 문학 수업 사례 연구- 피드백 기반 조별 발표가 탐구공동체(CoI)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A Case Study of General Literature Classroom-Does Student Presentation Activate the Community of Inquiry

Shashi Kumar Mishra, 박정이, 김도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s instructor-led literature teaching method with student presentation-based learning method to explore effec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latter, which replaces the instructor’s lecture with student presentation to engage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The theoretical and analy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is the community of inquiry, whose basic concept was first introduced by early pragmatists Charles Sanders Peirce and John Dewey. It posits that ideal learning takes place when three essential presences―teaching, social, and cognitive―are firmly in place. First, teaching presence is the instructor’s orchestration of content, activities, and assessments. Second, social presence is the atmosphere where students are empowered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of inquiry. Third, cognitive presence is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construct and confirm knowledge through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 With regard to the analysis, this study employs the community of inquiry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26 students who attended the “Arche Seminar: World Literature” class in the fall 2016 semester. The perception differences for the three presences are investigated, followed by a detailed analysis of individual survey items.

한국어

학습자 중심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교양 문학 수업에서는 교수자가 주도하는 강의 중심 교수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로 전공이 서로 다른 저학년 학생들이고 수강생도 많다 보니 다양한 협동 활동을 진행하기 힘든 면도 있다. 협동학습을 도입해 교수자 강의를 학생들의 조별 발표로 대체하려고 해도 이를 교수 태만으로 연결시키는 분위기도 있어 교수자는 그저 ‘열심히’ 강의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 강의중심 교수법과 조별 발표중심 교수법에 대한 학생들의 탐구공동체 인식을 비교하고 개선점을 정리했다. 조별 발표중심 교수법의 경우 교수자의 강의를 상당 부분 학생들의 발표로 대체했지만 사전 피드백을 통해 수업 내용의 왜곡이나 손실을 최소화하려 노력했으며 궁극적으로는 탐구공동체를 활성화시키고자 했다. 탐구공동체란 공동의 탐구 문제를 공유하며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모인 집단을 일컫는 개념으로 교수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을 통해 활성화된다. 교수적 실재감은 수업 내용과 관련한 설명, 학습 활동 지도, 평가 등 제반 설계 및 운영에 있어서의 교수자의 조율 능력이다. 사회적 실재감은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탐구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느끼고 생각하며 행동하는 정도를 가리킨다. 인지적 실재감은 다변량 척도로서 비판적 사고와 건설적 상호작용, 성찰을 통해 달성되는 지식 축적 및 활용 능력이다. 수업 사례 분석에 있어서는 탐구공동체 설문을 통해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양대학에서 2016년 진행된 <아르케 세미나 - 세계문학> 수강생 26명의 교수법 전환에 따른 인식 변화를 비교하고 분석했다. 교수자 강의중심 교수법에서 조별 발표중심 교수법으로 전환한 후 탐구공동체의 3가지 영역에 대해 모두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학생들에서 일어났다. 교수적 실재감에 있어서는 조별 발표중심 교수법에서도 교수자의 역할이 줄어들지 않았고 사회적 실재감에 있어서는 조별 발표중심 교수법을 통해 학생들이 탐구공동체 일원이 되었다고 인식했으며 인지적 실재감에 있어서는 자료 검색 및 활용 출처가 확대되고 지식이 확산되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수업 개요 및 운영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및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탐구공동체 설문지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Shashi Kumar Mishra Central University of Jharkhand
  • 박정이 Jeongyi Park. 부산외국어대학교
  • 김도훈 Dohun Kim. 부산외국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