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북유럽 디자인 거버넌스의 사회혁신 패러다임 분석 - 핀란드, 덴마크, 독일의 디자인 주도 사회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f Social Innovation Paradigm of Northern European Design Governance – Focusing on Design-driven Social Innovation Cases in Finland, Denmark and Germany

전영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patterns of design governance used by Northern European countries to respond to social crises and understand design governance as a tool for sophistication of social services and social integration. Design governance as applied in Sitra of Finland, MindLab of Denmark and the Gulliver project of Germany encourages using design methodology for analyzing and solving problems related to social phenomena based on involvement of the private, public, industrial, and academic groups. Especially, the citizens are actively involved in developing problem-solving ideas and designing new policy with other governance members,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or one-time participation. In the cases discussed in this study, design governance reduce unnecessar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consumption and inconvenience caused by complicated rules, based on field-oriented approach, regional characteristics, pluralism, and respect for diversity. Therefore, future design policy paradigm will need to evolve into concept of policy design and pluralistic monitoring centered on design governance based on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to lead policy development, from the current system in which only few officials decide policy.

한국어

본 연구는 공동체 위협을 극복하는 북유럽 국가들의 전략적 디자인 협업체계 분석을 통해 사회공유 서비스와 삶의 질적 가치인식을 제고하는 디자인 거버넌스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핀란드의 시트라(Sitra), 덴마크의 마인드 랩(Mind Lab), 독일의 걸리버(Gulliver) 프로젝트에서 살펴본 디자인 거버넌스는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문제 해결의 전 과정에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민·관·산·학 협의체의 개입을 장려하고 있다. 특히 시민은 정보 제공이나 일시적인 참 여가 아니라 다른 거버넌스 구성원들과 함께 문제 해결 아이디어 개진과 새로운 정책 설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한다. 이 사례 들에서 디자인 거버넌스는 사회 문제가 발생하는 현장 중심적 접근, 지역의 특수성과 다원주의,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바탕 으로 정책 집행에 있어 불필요한 행정적·재정적 소모와 불편을 줄인다. 결과적으로 향후 디자인 정책 패러다임은 소수의 관계자들에 의한 정책 결정의 방식에서 민간 참여를 토대로 한 디자인 거버넌스 중심의 정책 설계와 다원적 모니터링의 개념으로 진화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디자인 거버넌스(Design Governance)의 개념적 논의
  2.1 디자인 거버넌스의 이해
  2.2 디자인 거버넌스의 역할
 3. 북유럽 디자인 거버넌스 유형 분석
  3.1 핀란드 : 정부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디자인거버넌스
  3.2 덴마크 : 사회혁신의 디자인 거버넌스
  3.3 독일 : 성숙한 시민의식에 기반 한 디자인거버넌스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전영옥 Young-Ok Jeon.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