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video image in the movie has become more spectacular than ever, and the expression area and the subject have been infinitely expanded, but it can not be said that the range of imagination has expanded. Instead, the 60s and 70s, which were the epochs of popular culture, The film that implements the artististic visual style and expression style of the artist. Stanley Kubrick's "Clockwork Orange", which has been pursuing technological perfection and experimental style, was created using traditional video grammar and gained a great repercussion with outstanding material and high artistic expression technique at that time. These techniques have led audiences to rational observation through irony, rather than emotional sympathy for the situation, for extreme violence and sensational films. This is because the purpose of the director was not to be in technological perfection but to reveal the contradictions of the real society and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society itself. These creative traditional visual grammar and expression methods are a good visual style that enables the intentionally transmitted message to be transmitted more intensely and effectively, and the artistic depth can be created at the same time by unconsciously perceiving the meaning present on the back to the audience.
한국어
영화 속 영상 이미지는 그 어느 때보다 화려해지고 표현영역과 대상이 무한대로 넓어졌지만 상상력의 범위가 넓혀졌다고는 말할 수 없으며 오히려 대중문화의 태동기였던 60-70년대는 다양한 영상 문법과 테크닉을 통해 자신만의 작가 주의적 영상 스타일과 표현양식을 구현하는 영화들이 속속 등장하는 시기였다. 기술적 완벽성과 실험적 스타일을 추구해 온 명장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시계태엽오렌지’는 전통적인 영상문법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수작으로 당시 파격적인 소재와 수준 높은 예술적 표현기법으로 큰 반향을 얻었다. 이러한 여러 기법은 극단적인 폭력과 선정적인 영화에 대해 관객을 상황에 대한 감정적인 동조가 아닌, 아이러니를 통한 이성적인 관찰로 유도하였다. 이것은 감독의 목적이 기술적 완벽성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현실 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고, 나아가 사회 자체의 존재의미에 대해서 성찰 하게끔 하는 것 이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창의적인 전통적 영상문법과 표현 방법 등은 이면에 존재하는 의미를 관객에게 무의식적으로 인지케 함으로서 의도한 메시지를 보다 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케 하며 예술적인 깊이도 동시에 창출 가능케 하는 훌륭한 영상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작품세계
3. 영상 스타일 분석
3.1 지적 연결 몽타주
3.2 어트랙션(attraction) 몽타주
3.3 캐릭터 디벨로프먼트
3.4 영화 속 체험적 시간 기법
3.5 반적 사운드 기법
3.5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표현 사례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