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VR 애니메이션 <Pearl>의 시각적 미장센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Visual Mise-en-Scene of VR Animation <Pearl>

이랑구, 정진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is-en-Scene is a direction method of image aesthetics for constructing screen and space. Mis-en-Scene is important factor not only in plays and movies, but also in animations, and it is a strong method to induce audience to immerse in the works and to continue the immersion. This study examined animation's Mis-en-Scene based on theories of Mis-en-Scene in movies, how Mis-en-Scene is directed and expressed in virtual spaces, and what factors and characteristics induce audience to immerse in the works and continue the immersion through analysis on visual Mis-en-Scene factors of a specific case, VR animation . It was found that as visual Mis-en-Scene factors, character and props, background, unique quality and friendliness of character, natural movement and acting, symbolism and utilization, and variety and consistency of background induce and sustain immersion.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would helpful for related areas based on the findings which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differentiated measure and method to catch audience's eyes and sustain immersion utilizing characteristics of vidual Mis-en-Scene factors in VR animation in the future.

한국어

미장센은 시각적 영상 미학으로 화면과 공간을 구성하는 연출 기법이다. 연극과 영화에서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에서도 역시 미장센은 중요한 요소이며, 관람자의 몰입을 유도하고 지속할 수 있는 강력한 장치이다. 본 논문은 영화의 미장센 이론을 기반으로 애니메이션의 미장센을 알아보고, 가상공간에서는 어떻게 연출되고 표현되었으며 어떠한 요소와 특징이 관람자의 몰입을 유도하고 지속시키고 있는지 VR 애니메이션 을 구체적인 사례로 삼아 시각적 미장센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 미장센 요소로는 캐릭터와 소품, 배경, 캐릭터의 독창성과 친근함, 자연스러운 동작 및 연기, 소품의 상징성과 활용성 그리고 배경의 다양성과 일관성이 몰입을 유도하고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VR 애니메이션은 시각적 미장센 요소의 특성을 활용한 연출을 통해 관람자의 시선 유도와 몰입을 지속할 수 있는 차별화된 장치와 기법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얻은 논문으로 관련 분야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논문으로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2. 이론적 배경
  2.1 VR 애니메이션
  2.2 미장센
  2.3 몰입감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방법
  3.2 연구문제
 4. 연구결과
  4.1 의 주요 시각적 미장센 요소 분석
  4.2 의 주요 시각적 미장센 요소의 특징과 몰입감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랑구 Lang-Goo Lee.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박사과정
  • 정진헌 Jean-Hun Chung.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