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디지털 시대 청소년의 외로움,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among Loneliness,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in the Era of Digitalization

김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lonely adolescents showed higher increases in stress and they easily addicted smartphone utilization for comforting loneliness and stress. Studies, moreover, have claimed that smartphone addiction has nega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To contribute to knowledge on these topic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o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loneliness,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o identify test subject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hat collected data from Korean adolescents, and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mpleted between April 1, 2017 and April 15, 2017. A total of 356 adolescents completed the survey, and the final data of empirical test of the study was 327.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tress of adolescents is mediated by four sub-factors of smartphone addiction such as difficulty of daily life, directivity of virtual life, withdrawal symptom, and toler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smartphone addiction risk of adolescent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mental health, especially loneliness and stress.

한국어

다수 연구들에서는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청소년들은 스트레스를 더 받으며, 그들은 외로움과 스트레스를 달래기 위하여 쉽게 스마트폰 중독에 빠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관련 연구들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들에게 정신 적으로 부정적인 영향들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주제들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외로움,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주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15일 동안 실시하였다. 총 356명이 설문조사에 참가하였으며, 이 가운데 327명의 설문조사 내용을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의 4개 하부 요인들인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 지향, 금단, 내성이 모두가 청소년들이 지각하고 있는 외로움과 스트레스의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은 청소년들의 정신적 건강, 특히 외로움과 스트레스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3.1 가설설정과 연구모형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3 연구대상
  3.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표본의 일반적 특성
  4.2 신뢰성과 타당성 검정
  4.3 가설검정
 5. 논의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지영 Ji-Youngng Kim. 창원문성대학교 간호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