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기혼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 간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 분석

원문정보

The Moderating Effects of Birth Rate Policies between Korean Women’s Values of Children and Their Intentions for Subsequent Childbirth

이완, 채재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both childcare subsidy and childcare leave policies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omen’s value of children and their intentions for subsequent childbirth. The data are used from the 2015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Bot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instrumental values, and emotional valu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s for subsequent childbirth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variables(level of education, income, age, and number of children). Second, childcare leave polic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s for subsequent childbirth while childcare subsidy policy has the negative effect. Third, only childcare subsidy policy h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mental, emotional values, and the intentions for subsequent childbir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icies enhancing the value of children should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raditional birth rate policies. Furthermore, new birth rate polices are needed for those married women who have a high possibility of subsequent childbirth.

한국어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보육료지원, 육아휴직제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자료 중 총 2,143명의 자료를 선택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조절회귀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배경변수(교육수준, 소득, 연령, 기존 자녀수)를 통제한 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상적 자녀수, 도구적 가치관과 정서적 가치관의 순으로 추가출산의향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육아휴직’은 추가출산의향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반면에, ‘보육료지원’은 음(-)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료 지원’만이 ‘도구적, 정서적 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의향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효율적인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녀가치관을 높이기 위한 출산장려 문화정책이 필요하며, 아울러 추가출산 가능성이 높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자녀수 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3.2 연구 모형
  3.3 연구변수
 4. 연구 결과
  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분석 결과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완 Wan Lee.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
  • 채재은 Jae-Eun Chae.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