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황해도 동학군의 해주성 점령

원문정보

The Occupation of Haeju Castle by Hwanghae-province Dong-hak Army

이영호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44호 2017.09 pp.261-29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ccupation of Haeju Castle by the Hwanghae-province Donghak army is as noteworthy as that of Jeonju Castle by the Jeolla-province Donghak army. After arresting Seong Jae-sik, a leader of the Hwanghae-province Donghak army and Kim Gae-nam, a leader of the Jeolla-province Donghak army, and decapitating them in Seoul, the Joseon government had Seong Jae-sik's head dragged along the streets in the Haeseo region and Kim Gae-nam's head dragged along streets in a similar fashion in the Honam and Hoseo regions. It can be seen that the Joseon government did not take the uprising of Hwanghae-province Donghak army lightly because it treated the two as equivalent threats. Nevertheless, that occupation of Haeju Castle has not attracted much scholarly attention in relation to the Donghak Peasant War, because the facts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cident were never clearly established. However, the facts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occupation of Haeju Castle became clear through the discovery of Gabo Gunjeong Silgi (literally, the records of military administration in 1894), which is a diary by Yangho Dosunmuyeong (literally, the supreme military command in charge of suppressing the Honam and Hoseo region uprising) that was set up to subdue the Donghak army. In the meantime, the period of that occupation of Haeju Castle was considered to be one month from November 3 (the 6th day of the 10th month under the lunar calendar) to December 3 (the 7th day of the 11th month under the lunar calendar), 1894, but it was really unclear. Through Gabo Gunjeong Silgi,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onghak army entered Haeju castle on November 22 (the 25th day of the 10th month under the lunar calendar) and occupied it for nine days until November 30 (the 4th day of the 11th month under the lunar calendar). It also clarified the following two processes: the process where the Donghak army expanded its power before and after the occupation of Haeju Castle; and the process where the Donghak army gathered its forces together and attacked the castle again on December 23. The activities of the Hwanghae-province Donghak army differed in nature from those of the Donghak armies in the southern region. First, a considerable variety of different types of people joined the Donghak army, so the peasantry cannot be regarded as the mainstay of the Donghak army. That is the reason why this study used the term 'Donghak army' instead of 'Donghak peasant army'. Second, the Hwanghae-province Donghak army led by Lim Jong-hyeon engaged in activities more akin to a 'rebellion' such as the burning of various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the appointment of provincial governors and local governors. This suggests that the uprising of the Hwanghae-province Donghak army was more to a local rebellion. Third, the Donghak Peasant War in the southern region ended in early 1895, whereas, in Hwanghae-province, fierce combat continued until the summer of 1895. Considering the issue of nationality in relation to the Donghak Peasant War,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when the war ended. Fourth, the activities of the Hwanghae-province Donghak army displa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eople's movements such as peasant uprisings or premeditated disturbances in county units.

한국어

황해도 동학군의 해주성(海州城) 점령사건은 전라도 동학군의 전주성 점령 못지않게 주목해야할 사건이다. 조선정부는 황해도 동학군 지도자인 성재식(成載植)과 전라도 동학군 지도자 김개남(金介男)을 체포하여 서울에서 효수(梟首)한 뒤 김개남의 수급(首級)은 양호(兩湖)지방에, 성재식의 수급은 해서(海西)지방에 조리돌리게 했다. 동학농민전쟁의 지도자로서 김개남이 차지하는 위상을 성재식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양자를 동급으로 취급한 점에서 조선정부가 황해도 동학군의 봉기를 가벼이 여기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겠다. 그렇지만 동학농민전쟁 연구에서 해주성 점령사건은 주목받지 못했다. 그 실체가 충분히 밝혀지지 못한 탓이다. 그런데 동학군을 진압하기 위해 설치된 양호도순무영(兩湖都巡撫營)의 일지인 『갑오군정실기(甲午軍政實記)』가 발굴됨으로써 해주성 점령사건은 분명해지게 되었다. 그동안 해주성 점령은 1894년 양력 11월 3일(음력 10월 6일)부터 12월 3일(11월 7일)의 한 달간으로 애매하게 처리되어 왔다. 그런데 『갑오군정실기』의 기록에 의해 11월 22일(10월 25일) 동학군이 해주성에 들어가 11월 30일(11월 4일)까지 9일간 점령한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해주성 점령 전후 동학군의 세력 확장이나, 12월 23일(11월 27일) 동학군이 세력을 총 결집하여 재차 해주성 공격에 나선 과정도 분명하게 드러났다. 황해도 동학군의 활동은 남부지방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첫째 동학군에 참가한 계층이 상당히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 ‘동학농민군’이라 하지 않고 ‘동학군’이라 표현한 이유다. 물론 수적으로는 농민층이 주류를 이루었을 것이다. 둘째 임종현(林宗鉉)이 지휘한 황해도 동학군은 각종 행정문서를 소각하고 스스로 감사와 수령을 임명하는 등 ‘모반’의 흉내를 내고 있다. 이런 점에서 황해도 동학군의 봉기는 변란적 성격이 강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셋째 남부지방의 동학농민전쟁이 1895년 초에 종결된 데 비해 황해도에서는 1895년 여름까지 저항이 치열하게 계속되었다. 동학농민전쟁의 전국성을 고려한다면 그 종결시기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황해도 동학군의 활동은 이후 군(郡) 단위의 농민항쟁이나 계획적인 변란 등의 민중운동과 연관되는 특징을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동학군의 해주성 점령
 3. 황해도내 동학군의 확산
 4. 동학군의 해주성 총공격
 5. 황해감사의 수습책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영호 Young-ho Lee. 인하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