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학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 양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emale Characters in ‘Donghaksoseoul’

채길순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44호 2017.09 pp.69-9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ovel that writes about Donghak Peasant Revolution is divided into ‘Donghaksoseoul(=東學小說)’ and Donghak Peasant Novels, of which latter rarely mentioned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until now, there has not been a researches on the female characters in ‘Donghaksoseouls. Therefore, the range of this research must be extensive and used as a research data. ‘Donghaksoseoul’, refers to a novel written by a writer who is closely related to the church or denomination for the purpose of propagating the ideology and doctrine of Donghak in Donghak(Chondokyo) and Donghak system. ‘Donghaksoseoul’, emerged along with ‘shinsoseoul(=新小說)’ in the 1910s, and the background of ‘Donghaksoseoul', was centered on 3.1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in Donghak Changdo in the 186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female characters in the role or history of women during Donghak a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research method is to divide and explore female characters in ‘Donghaksoseoul’, into the 1920s, the 1920s after 3.1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the 1930s and 1940s during the latter half of Japanese colonial era.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pattern of female characters in ‘Donghaksoseoul’,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First of all, the ‘Donghaksoseoul’, in the 1910’s portrays female characters who are persecuted on behalf of a persecuted husband, a woman with strong religious faith, and one who conforms to her husband’s belief. Second, after the 3.1 movement, the ‘Donghaksoseouls’, of the 1920s show the changes by including the advanced contents such as the appearance of the persecution novels on the front, while continuing the folk novel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era. Third, ‘Donghaksoseoul’, in the late 1930s and 1940s are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previous cleverly avoids censorship from Japanese imperialist by focusing their theme on affection, orphans, poverty, and sorrows. Yet in the latter period, the novel attempts a direct access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istory.However, in the latter period, as the purpose of the novel changed into an interest-oriented affection, the doctrine was changed into a mere assortment. The female characters in ‘Donghaksoseouls’, are the ones who suffer from the men's struggles in the male-dominated peasant revolution, or ones who become believers after their husbands. If I point out limits of ‘Donghaksoseouls’, it can be said that their literary boundaries cannot be expanded due to the ideological limitation of the church and the doctrines of Confucianism. In addition, historians have not been able to diversify the meanings by understanding historical events because the message was carried out mainly by non-professional writers of denominations. For such reason, I have not obtained enough grounds to link ‘Donghaksoseoul’, to general literary history. It is due to the limitation of ‘Donghaksoseoul’, that depends on the policy of denomination or its role as a device to propagate, leading its contents to be sensitively changed.

한국어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쓴 소설은 동학소설과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쓴 소설로 구분되는데, 우리 문학사에서 동학소설은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특히 지금까지 동학농민혁명을 소재로 쓴 동학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자료탐색 수준이 될 것이며, 연구 범주가 넓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동학소설은 동학 및 천도교 계통의 교단에서 포교 목적이거나 동학의 사상이나 교리를 선양할 목적으로 교인 혹은 교단에 우호적인 작가에 의해서 쓰인 소설을 말한다. 동학소설은 1910년대에 신소설과 함께 등장했으며, 동학소설 소재의 시대적인 배경은 1860년대 동학창도에서 3·1민족해방운동, 일제강점기가 중심이었다. 연구 목적은 동학 및 동학농민혁명사에서 여성의 역할 혹은 여성 인물 양상 고찰이다. 연구 방법은 동학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 양상을 1910년대, 3·1운동 이후 1920년대, 일제 후반기인 193,40년대로 나눠서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동학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 양상은 시대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녔다. 첫째, 1910년대 동학소설에 나타나는 여성상은 박해를 받은 남편을 대신하여 박해를 받는 여성 상이거나, 종교적 믿음이 강한 여성, 남편에 순응하여 교인이 된다는 교술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둘째, 3·1운동 이후 1920년대 동학소설은 앞 시대의 포덕 소설적 특성을 이어가면서, 박해소설이 전면에 등장하는 등 한층 진보된 내용을 담는 변화를 보인다. 셋째, 일제강점기 후기인 193,40년대의 동학소설은 두 시기로 나뉜다. 전기의 동학소설이 애정, 고아, 가난, 비애 등을 소재로 하여 포교 목적으로 진행됨으로써 일제 검열의 예봉을 교묘하게 비켜갔지만, 후반으로 넘어가면서 동학농민혁명사에 직접 접근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후기는 흥미 위주의 애정물로 변화하면서 교리를 구색으로 끼워 넣는 식으로 변질되어갔다. 동학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은 남자 중심의 동학농민혁명사에서 희생된 남성으로 인한 아픔을 대신 겪거나, 남편에 순응하여 교인이 되거나, 이미 열성적인 여성 교인이 되어 포교에 힘쓰는 여성 인물 등이다. 동학소설의 한계를 지적한다면, 교단의 존폐 위기 상황에서 포교와 교리전달이라는 이념적인 한계 때문에 문학적 영토를 넓히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교단의 비전문적인 작가들에 의해 역사적인 사건을 교단 중심의 사건으로 이해함으로써 역사적인 의미가 다양화되지 못했다. 이 같은 원인으로 일반 문학사로 연결될 만한 고리를 획득하지 못했으며, 교단의 방침을 전하는 도구로 전락하거나, 교단 분열 같은 교단 내부의 사정에 따라 동학소설의 내용이 민감하게 반영되는 한계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동학소설에 나타난 여성 양상
  2.1. 동학소설의 시대적 배경
  2.2 시기 별로 나타난 여성 양상
 3.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채길순 Gil-soon Chae. 명지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