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명철학의 관점에서 본 동학의 여성관

원문정보

The Donghak's View of Women and Philosophy of Life

조극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Donghak 's View of Women from the viewpoint of philosophy of life.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portraits of Suwoon and Haewol and the suffering and behavior of women after the Donghak revolution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the meantime. The history of the Donghak’s view of women, the Donghak and Chundogyo’s view of women in the New Cultural Movement since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the main subjects. However, this study did not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onghak's View of Women and the suffering of women after the Donghak revolution.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analyzed the viewpoi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nghak’s view of women and the actual suffering that women had to suffer after the revolution. Second, I summarized the women 's view of Donghak by focusing on Kaohwaron(家和論. Theory of Peace of Home) and Puwhapusunron(夫和婦順論, Harmony of Husband and Wife), in particular, analyzing the position and role of women in Naicheuk(內側)·Naisudomun(內修道文), etc. from the viewpoint of philosophy of life. Third, we discussed whether or not the methodology of literary research which deals with the experience as contents can be adopted as the methodology of Donghak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gap between the Donghak Women's View and the painful reality of women after the Donghak revolution. Secondly, it is meaningful that Donghak's view of women emphasized the dignity, vitality and role of women that women could not pay attention to. Third, it is possible to adopt the methodology of literary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ology of Donghak, as long as it is universalizing the empirical specificit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의 여성관을 생명철학의 관점에서 조명하려는 데 있다. 수운과 해월의 여성관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동학의 여성관과 동학혁명 이후 여성의 고난과 행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동학 여성관의 역사, 개화기 이후 신문화 운동에 나타난 동학 천도교의 여성관을 주제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동학 여성관과 동학혁명 이후 여성의 고난에 대한 상관관계 및 구비문학적 방법론의 타당성을 밝히는 데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학의 여성관과 혁명 이후 여성이 겪어야 했던 현실적인 고통과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동학의 여성관을 가화론과 부화부순론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내수도문, 내칙, 등에서 보인 여성의 지위와 역할을 생명철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셋째, 경험담을 콘텐츠로 다루는 구비문학적 연구방법론이 동학 연구의 방법론으로 채택될 수 있는지 여부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동학의 여성관은 동학혁명 이후 여성의 고통스런 현실과는 괴리가 있다. 동학 여성관의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주목해야 한다. 둘째, 동학의 여성관은 성리학적 여성관에서는 주목하지 못했던 여성의 존엄성과 생명성 그리고 여성의 역할을 부각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셋째, 경험적인 특수성을 보편화하는 한에서 구비문학적 연구 방법론을 동학의 연구 방법론으로 채택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선행연구 분석
 3. 동학의 여성관
  1) 동학사상의 이해
  2) 수운 최제우의 여성관
  3) 해월 최시형의 여성관
 4. 동학의 여성관과 생명철학
 5. 기억과 언어 그리고 역사적 진실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극훈 Keuk-hun Cho. 경기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