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on dementia patients. Methods: The study was used systematic review method. The databases were collected using RISS, Pubmed, Google Scholar. Each articles were assessed for quality using the PEDro Scale. Nine articles were chosen, and the articles analyzed about the method of intervention, the evaluation tool, the evaluation area, and the experts who performed the intervention. Selected article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in PICO. Results: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articles were all level 1 in the study of the level 5 step classification. Because all nine articles analyzed the randomized control study. The 55.5% of the articles’ subjects were dementia only.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 was the exercise program(33.3%), and the use of the single domain intervention was higher than complex domain intervention. Community-based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the physical domain of dementia patients and in the quality of life domain of the caregivers. The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in the areas of exercise, cognition, QOL, and ADL. Specialists were often referred to as physic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ists, and nurses. Conclusion: This study could be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as a basis for community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dementia.
한국어
목적:지역사회기반 중재로 인한 치매환자에게 미치는 효과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체계적 고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RISS, Pubmed, Google Scholar 사용하여 자료 를 수집하고, 각 연구는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질을 평가 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9편의 논문을 선 정하였고, 중재방법, 중재 시 사용된 평가도구, 평가영역, 중재를 실시한 전문가 등에 관해 분석하였다. 선 정된 연구는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PICO) 형식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결과:연구의 질적 수준은 9편 모두 무작위대조군연구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연구수준 5 단계 분류 방법에 서 모두 1단계에 속하였다. 중재 대상자는 치매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55.5%로 가장 많은 비율 을 차지했다. 운동프로그램을 사용한 중재가 3편(33.3%)으로 가장 많았으며, 복합적 중재보다는 단편적 중재의 비율이 더 많이 차지하였다. 지역사회기반 중재는 운동, 인지, 삶의 질, 일상생활활동영역에서 모 두 효과적이었으며 치매환자에게 신체적 영역을, 보호자에게 삶의 질 영역을 결과로 보는 빈도가 가장 많았다. 중재자는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간호사의 빈도가 가장 많았다. 결론:연구결과는 작업치료사들이 지역사회 중재가 치매환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 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2. 대상논문의 선정기준
3. 연구의 질적 평가
4. 근거제시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근거의 질적 수준
2. 연구 대상자
3. 중재방법 사용 빈도 및 결과 대한 분석
4. 종속변수 영역 분석
5. 중재를 실시한 전문가에 대한 분석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