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Focusing-oriented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최윤녕, 김갑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focusing-oriented group art therapy participants and examine the meaning of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by conducting focusing-oriented group art therapy for six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family welfare counseling. The focusing-oriented group art therapy consisted of 4 sessions and took 12 hours in total. After conducting the group art therapy,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Data was analysed by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Van Kaam, and sorted into 67 meaningful statements, 15 sub themes, 6 themes, and finally 3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was focusing experiential including the 'felt-sense' and ‘recognition of felt-sense'. The second category was experience of internal exploration including ’self-seeking time' and 'explore unresolved challenges'. The last categories was art therapy experiential such as, 'the unique experience of art' and 'burden of using art media' Focusing on these results,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and significance of experience of focusing- oriented group art therapy was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에서 포커싱 미술치료의 이해와 활용을 위해서 가족복지상담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6명을 대상으로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의 참여자들은 학업과 직장의 업무 혹은 학업과 가정의 일 사이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공통점을 작고 있었으며,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체험을 하였는지 탐색하고 포커싱 미술치료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는 4회기, 총 12시간 실시되었으며, 실시 후 참여 경험에 대한 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Van Kaam의 현상학적인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어 총 67개의 의미 있는 진술, 15개의 부주제, 6개의 주제, 3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범주1은 포커싱의 경험으로 ‘감각느낌 접촉’과 ‘감각느낌의 인식’으로 분류되었고 범주2는 내적인 탐색의 경험으로 ‘자기탐색의 시간’과 ‘미해결과제의 탐색’으로 범주3은 미술치료의 경험에 대한 것으로 ‘미술이 주는 독특함’ 과 ‘미술활동의 어려움’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포커싱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에 대한 탐색과 의의에 대해 논의가 제시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참여자
  2. 포커싱적 미술치료 단계
  3.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4. 자료 해석 및 분석
  5.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Ⅲ. 연구결과
  1. 포커싱의 경험 : 감각느낌 접촉과 인식
  2. 내적인 탐색의 경험 : 자기탐색 및 미해결과제 탐색
  3. 미술치료의 경험 : 미술이 주는 독특함과 미술활동의 어려움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윤녕 Choi, Youn-Nyoung. 영남대학교 대학원 미술치료학과 박사과정
  • 김갑숙 Kim, Gab-Sook.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미술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