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Fashion Design through Comparis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Costume
초록
영어
Fashion design is influenced by a contemporary lifestyl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re is a common element shown from the comparison of other works in the same perio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raditional costume design elements that show the identity of Korea by comparing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costumes of Korea, China and Japan which share the basic elements of a human life-food, clothing and shelter. First of all, the subtle line which can be seen in Korean architecture and costumes is one of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The pattern of Hanbok incorporates both straight and various curving lines from the contours of the human body, which creates a sense of naturally flowing harmony and provides comfort and mobility. Next, Hanbok focuses on variability and functionality that minimize decoration and maximize function for increased mobility. For instance, Jeogori is comfortable and easy to wear as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earer’s body. Thirdly, another characteristic of Hanbok is the color of nature. The color schemes used in Korean architecture and costumes are vivid and contrast in complementary colors, which give a decorative effect and add the elegance and refined beauty of Hanbok. Lastly, Hanbok uses the simplified pattern of natur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re influenced by nature and the motifs are further simplified unlike the realistic motifs of China and Japan. The natural pattern of Korea has been designed with simplicity in mind while revealing the original source of inspiration.
한국어
복식디자인은 동시대의 생활양식과 미의식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동시대의 생활양식과 미의식을 반영한 제작물들의 비교를 통해 복식에 작용한 미적 요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 생활의 기본요소인 의·식·주 중에서 조형적인 특징을 공유할 것으로 추측되는 건축과 복식을 비교하여 공통적인 미적요소를 찾고자 한다. 특히 지역적으로 인접한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건축과 복식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전통복식의 디자인 요소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적 복식디자인 요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선이다. 우리나라의 건축과 복식에서 보여지는 선은 급한 휨이나 과장이 없는 완만한선이다. 이러한 선의 특징은 복식의 제작 과정에 작용하여 완만한 윤곽선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인 의복 패턴은 직선과 작은 호를 그리는 구체적인 도형들이 기본을 이루지만, 한복의 선은 직선과 유사한 다양한 만곡이사용되어 인체의 윤곽선을 따라서 제도된다. 둘째, 여유로움과 가변성이다. 한복은 장식을 절제하고 좌식생활에 필요한 여유를 고려한 복식이다. 중앙에 위치한 고름은 입고 벗기 편하며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품을조절 할 수 있다. 셋째, 우리나라 자연의 색을 지향한다. 우리나라의 건축과 복식은 명료한 색상대비로 장식적인 효과를 주었다. 한복 상하의의 색상대비는 경쾌한 느낌을 주며, 각각의 명료한 색을 이용한 대비는 근접색이 사용되어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면서 풍부한 색감을 보여준다. 넷째, 자연의 형태를 간략화한 문양이다. 우리나라의 문양은 자연에서 모티프를 가져 왔으나 중국처럼 극히 사실적으로 묘사하거나 일본만큼 도안화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문양은 본래의 모습이 드러날 정도의 간략화로 자연과 어울리고 과장되지 않게 디자인되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중・일 전통 건축과 복식에 내재된 기초 개념
1. 한・중・일의 문화적 배경
2. 한・중・일 전통 건축
3. 한・중・일 전통 복식
Ⅲ. 한・중・일 전통 건축과 복식에 반영된 조형요소 비교
1. 한・중・일 전통 건축의 비교
2. 한・중・일 전통 복식의 비교
Ⅳ. 한국적 패션디자인 요소
1. 선에 따른 분석
2. 형태에 따른 분석
3. 색에 따른 분석
4. 문양에 따른 분석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