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스포츠 열정 척도의 양호도 분석과 문항 재구성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Fitness of the Sports Passion Scale and Question Reconstruction

김우진, 민왕식, 서명근, 김성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itness of the sports passion scale and reconstruct the items. The sport passion scale derived from the dualistic passion theory consists of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and is applied to sports participants. But such a sports passion scale has not currently validated or tested for goodness of fit.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respondent reliability, item reliability, difficulty level, goodness of fit and appropriateness of response category of sports passion scale by item response theory. SPSS 18.0 and Amos 20.0 were used to analyze construct validit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acet 3.61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many facet Rasch model.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deleting 3 items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construct validity after. Second, Infit・Outfit Index of respondent’s reliability and item reliability meets standard value, but more items were needed. Third, the results of verifying difficulty level and goodness of fit of scale revealed the Infit・Outfit index of three items did not meet the standard value.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ifficulty level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but Infit・Outfit index of 50s and 60s showed low. Fifth, the response category analysis showed that the 4 - point scale was appropriate.

한국어

본 연구는 스포츠 열정 척도의 양호도 분석과 이에 따른 문항을 재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원론적 열정이론 에서 파생된 스포츠 열정은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포츠 참여자를 중심으로 적용되는 척도이다. 이러한 스포츠 열정 척도는 현재 타당화를 위한 분석이나 적합도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 구는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스포츠 열정 척도의 응답자 신뢰도, 문항 신뢰도, 척도의 곤란도, 적합도 및 응답범주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였다. 구성타당도(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Amos 20.0을 사용하 였으며, 다국면 Rasch 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Facet 3.6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문항을 삭제한 결과 구성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둘 째, 응답자 신뢰도와 문항 신뢰도의 Infit·Outfit 지수는 기준치를 만족하였으나, 더 많은 문항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곤란도와 적합도 검증 결과 3개 문항의 Infit・Outfit 지수가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넷째, 성별, 연령, 학 력에 따른 문항 곤란도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50대와 60대의 Infit·Outfit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응답범 주 분석 결과 4점 척도 범주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 자료처리방법
 Ⅲ. 결과
  1. 기술통계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우진 Kim, Woo-Jin. 텍사스 주립대학교
  • 민왕식 Min, Wang-Sik. 경기대학교
  • 서명근 Seo, Myung-Geun. 경기대학교
  • 김성희 Kim, Sung-Hee. 장안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