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course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o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towards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students with ID and autism who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participating in inclusive education were selecte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276.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did not receive APE course, and IEP training and Group 2 took only APE course. Finally, Group 3 received IEP training during APE course. To measure the self-efficacy scor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questionnaires of students with ID were used the part of students with ID of SE-PETE-D, and PESEISD-A was used to measure the self-efficacy scores of students with autism. To analyze data, one-way ANOVA was used, and Tukey was used for the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APE course and the IEP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self-efficacy towards the students with two types of disability. However, the result of post-tes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fficacy between the group 1 and group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3 and the rest two group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체육수업 중 개별화교육프로그램 교육의 제공이 예비체육교사의 통합체육에 대한 자기효 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합교육의 참여 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지 적・자폐성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특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76명이었고 세 개의 예비체육교사 집단을 구성하여 연구 를 설계하였다. 그룹1인 특수체육수업과 IEP 교육을 전혀 받지 않은 집단이고 그룹2는 특수체육수업을 수강한 집단이 었다. 마지막으로 그룹3은 특수체육수업 중 IEP 교육을 함께 받은 집단이었다. 설문도구로는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자 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통합체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척도(SE-PETE-D) 중 지적장애학생 관련 문항을 사용하였고 자폐성장애아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자폐성장애학생 통 합체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척도(PESEISD-A)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one-way ANOVA를 사용하였고 사후 검증을 위해 Tukey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통합체육수업과 IEP교육은 두 장애유형의 학생에 대한 자기효 능감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지만 사후검증 결과 그룹1과 그룹2의 자기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고 그룹3는 그룹1과 그룹2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설계
3. 설문도구
4. 자료처리방법
Ⅲ. 결과
1.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2. 지적장애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3. 자폐성장애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