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투자의 경제적 수익률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Returns to Schooling in Korea

崔康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turns to schooling in Korea remains relatively high despite the rapid expansion of college graduates and the decline of school quality. It is suspected that high returns are due to the omitted variable bias. The empirical analysis in this paper shows the followings: First, “the degree effect” are not found in the Korean labor market, which does not confirm the signalling hypothesis. Second, schooling of one's father and spouse are used as a proxy for an individual's unobserved ability. Spouse's schooling significantly affects the wage level of an individual, which implies a positive assortative mating in the marriage market. Third, the OLS estimates of returns to schooling is overestimated by 20% when the proxy for omitted variable is controlled. However, the magnitude of this bias decreases substantially when the measurement error in schooling is considered.

한국어

최근 대학교육의 양적증가에도 불구하고 교육투자수익률은 여전히 높다. 이러 한 현상은 교육의 효과를 과대 추정함으로써 발생한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 실 증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 노동시장에서 “학위효과”가 존재한다는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둘째,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관찰불가능 한) 능력 대신 父 및 배우자의 교육연수를 代변수로 사용하였다. 배우자 교육연 수는 소득에 유의적으로 큰 영향을 미쳐, 正의 assortative mating이 이루어졌 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전통적 임금함수의 OLS 추정치는 가족배경을 고려한 투자수익률보다 약 20% 이상 과대추정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차이는 교육연 수 측정에 미세한 오차만 존재하여도 크게 줄어든다. 교육이 소득에 미치는 진 정한 효과를 측정하는 것은 사회적 자원배분 효율성에 중요한 과제이므로 향후 더 훌륭한 도구변수와 대변수를 찾는 작업은 계속 필요하다.

목차

硏究要約
 Ⅰ. 서론
 Ⅱ. 교육과 소득간의 인과관계
  1. 소득함수의 도출
  2. 전통적 소득함수의 문제점
 Ⅲ. 실증분석 사용자료
 Ⅳ. OLS 추정치
 Ⅴ. 학위효과(Sheepskin effect)
 Ⅵ. 가족배경(Family Background) 효과
  1. 관찰 불가능한 요인의 대리변수
  2. 측정오차와 Family Background
  4.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의 사용
 Ⅶ. 요약과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崔康植 최강식.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