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가가치승수와 산업간 부가가치 연관구조 분석

원문정보

A Research on Value-added Multiplier and Inter-industry Value-added Relations

지해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Value-added multiplier and its inter-industry relations have to be clarified for promoting the value-added and the efficiency of R&D investment of an industry. The established supply-side model in input-output analysis can quantify the induced value-added effect of an industry by the exogenous value-added change, however it cannot identify the inter-industry value-added relation structures. The value-added multiplier developed in this paper is useful to quantify value-added effects and explain inter-industry value-added relation structures. The empirical analysis of 1995∼2005 constant input-output table shows as follows; first, value-added multipliers in the specified period have a tendency to increase and are slightly smaller than those of supply-side model. Second, the industries that have large multipliers and have strong influence on the other industries are listed such as mining and quarrying,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fabricated metal products, an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Third, the complementary relations of value-added creation among industry can be identified, thereby the policy such as joint R&D investments and the mixing and fusion of related industries may be possible. Fourth, the related industries and multiplier effects have been stable in the mentioned periods.

한국어

기존 공급모형승수의 유발부가가치는 생산유발효과에 연동되며, 두 산업 이상에서 부가가치변화가 나타나면 유발부가가치를 과소평가하는 한계를 가진다. 본고에서 정립된 부가가치승수는 공급모형승수의 한계를 바로 잡으며, 산업간 부가가치 연관구조를 제시한다. 1995∼2005년간 접속불변산업연관표 분석은 동기간중 산업별 부가가치승수가 증대되었지만 공급모형승수의 유발부가가치보다 다소 낮은 효과를 보인다. 산업별로 보면 총부가가치 유발효과도 크며 연관효과가 큰 산업은 광산품, 비금속광물제품, 금속제품, 농림수산업으로 나타났다. 비금속광물제품은 건설ㆍ전기및전자ㆍ제1차금속, 금속제품군은 건설ㆍ수송장비ㆍ일반기계업과 밀접한 부가가치 연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가치승수는 생산-생산승수나 수요-수요승수에 비하여 작은 변화를 보이고 있으므로 분석기간 중 부가가치 증대는 미약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분석은 산업별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수단의 발굴 및 집행이 현 수준보다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부가가치승수 정립과 공급모형승수의 비교
  1. 부가가치승수의 도출
  2. 부가가치승수와 공급모형승수 비교
 Ⅲ. 부가가치승수와 연관구조의 분석
  1. 부가가치승수
  2. 부가가치 연관구조의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지해명 Haemyoung Ji. 강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