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뉴미디어 스토리텔링과 웹컨텐츠의 가능지평

원문정보

Possibility of new media storytelling and web contents

허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b content takes the form of web space and snack content optimized for mobile devices, and deals with materials, motifs, and light stories that reflect popular trends that can spark SNS sharing. There are countless web contents produced by individuals, but through Web dramas and webtoons produced by professional companies, there is a tendency to produce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that want to make a profit, portals and broadcasters. It varies in text format depending on the medium being streamed and is somewhat hybrid in genres. Web contents are very different from the specialized genre areas such as dramas, novels, and plays, so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m from point of view of Synthetic aesthetics focused on story pattern motifs'. Web contents are often used as a channel for commercial marketing because patterns, materials and motifs are somewhat stereotyped, but deliberation and regulation of expression are loose. In fact, the lightness, commerciality, and commonality of web contents are inevitable limitations because any sound and image images do not completely substitute the critical reason or language function of literature. However, web content that attracts readers who leave the endlessly tedious space is the main expression form of new media storytelling, so it is worth noting as a channel for the new realization of literature struggling in a limited consumer market.

한국어

웹컨텐츠는 웹공간과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스낵컨텐츠의 형태를 취하며 SNS 공유(바이럴)를 점화시킬 수 있는 소재와 모티프, 가벼운 이야기를 주로 다룬다. 개인들이 제작한 무수한 웹컨텐츠들이 있지만 전문업체들에 의해 생산되는 웹드라마와 웹툰의 경우를 통해 보면, 이윤을 창출하려는 기업과 포털, 방송사 등의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 작업 경향이 뚜렷하다. 그것은 스트리밍되는 매체에 따라 텍스트 형식이 변주되고 장르도 다소 혼성적이다. 웹컨텐츠는 드라마나 소설, 희곡같이 특화된 근대의 쟝르영역과는 상당히 달라서 ‘이야기’, 혹은 패턴과 모티프에 초점을 맞춘 합성미학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웹컨텐츠는 패턴이나 소재, 모티프가 다소 유형적이지만 표현의 심의와 규제가 느슨해서 상업적 마케팅의 통로로 자주 활용된다. 사실 어떤 소리와 영상이미지도 문학이 표방하는 비판적 사유나 언어의 기능을 완벽하게 대체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웹컨텐츠의 가벼움과 상업성, 통속성은 태생적인 한계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끝없이 지루해진 글공간을 떠나는 독자들을 매혹하는 웹컨텐츠는 뉴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주된 표현양식이라는 점에서, 제한된 소비시장에서 고투하고 있는 문학의 새로운 실현의 통로로서 주목되어야 할 가치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웹’이라는 책과 ‘뉴스토리텔러’
 3. 웹컨텐츠의 패턴과 문학적 표현의 가능성
 4. 소재와 모티프: 웹드라마와 웹툰의 경우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허혜정 Huh, Hyejung. 숭실사이버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