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문학의 흐름에 대한 고찰 - 이블라지미르의 『Берег надежды』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n the Trend of Korean-Uzbekistan Literature - Focusing on Vladimir Lee’s The Coast of Hope (Берег надежды) -

박안토니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til now, Korean writers born in Uzbekistan and working in Russian have often been left out in the discussion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They are regarded as minority and their literature is classified as minority literature even within the Korean Literature category. These Korean-Uzbekistan writers writing in Russian did not experience forced migration. As citizens of Uzbekistan who have been educated in the Russian education system, they differ from the first-generation Korean writers in Uzbekistan. Hence, reviewing and analyzing the works of Korean-Uzbekistan writers will offer diversified understanding for Korean-Uzbekistan litera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a changing aspect in Korean-Uzbekistan literature focusing on Vladimir Lee’s work publish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Uzbekistan in the 1990s. Many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appear in Lee’s novel,The Coast of Hope. They want to get out of the unfamiliar place called Uzbekistan, but it is realistically impossible for them to do so. Given the situation, they manage a variety of survival strategies. The Koreans in the novel have various contacts with others such as the Uzbeks and the Russians. These characters of other ethnicities have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characters. The lives of the Koreans carried out in relation to these other ethnicities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mong the Koreans. They do not speak their native language, and yet they construct and maintain the viewpoint as Korean people. Vladimir Lee’s novel which was publish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Uzbekistan in the 1990s, shows the changing aspect of Korean-Uzbekistan literature.

한국어

지금까지 한인문학 관련 논의에서 러시아어로 활동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고려인 자가들은 흔히 누락되었다. 그들이 소수이고, 이들의 문학은 한인문학 범주 안에서도 소수자 문학에 해당한다. 러시아어로 창작활동을 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의 고려인작가들은 강제 이주 체험을 하지 않았고, 러시아식 교육을 받고 우즈베키스탄 국민으로서 1세대 고려인 작가들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작가들의 작품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문학을 좀 더 다각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런 의미에서 이 글에서는 1990년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수교 이후에 발표된 이블라지미르의 작품을 중심으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문학의 한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블라지미르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 중에 고려인 이주민 1세대가 많다. 이들은 우즈베키스탄이라는 낯선 곳을 벗어나고 싶지만 현실적으로 벗어날 수가 없다. 그런 등장이물들은 다양한 생존 전략을 마련한다. 소설의 고려인 인물들은 타인과의 다양하게 접촉한다. 그 타인은 우즈벡인, 러시아인 등인데 고려인들은 이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다. 타민족들과의 삶이 고려인들의 자아정체성 확립에 큰 도움이 된다. 모국어를 잘 모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민족이라는 시각을 유지ž구성하고 있다. 1990년대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수교 이후에 발표된 이블라지미르의 소설은 이러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문학의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우즈베키스탄 고려인문학에서 주제적 양상
  1) 낯선 곳에서 재현된 생존 방식
  2) 낯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인간애
  3) 자아정체성 확립의 형상화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안토니나 Pak, Antonina. 우크라이나 남부 우신스키 국립 사범대학 외국어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