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당초문의 조형성 분석과 지도 방안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Formative Analysis of Plant Scroll Patterns and Teaching Method

전광수, 이규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analyzes the principle of designing plant scroll patterns which implements elegant curvatures seen in plant vines. Through this research, ceramic artists and teachers will gain deeper understanding and senses over plant scroll pattern designing, as well as the principles and beauties found within the pattern-designs seen in ceramic arts.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vines in their ecology, the originating site of plant scroll patterns, and the modeling principles gained from vine curvatures. It describes the orientations, the method of expressing sensualism, and covers various examples of plant scrolls with patterns. The formative analysis of plant scroll patterns were limited to 24. Schematic figure 1, 2, 3 analyzed the genealogy of plant scroll patterns and the acanthus. Schematic figure 4, 5, 6 compared the plant scroll patterns between Koguryo and European countries, analyzed the principle of designing plant scroll patterns in the Koryeo celadon from figure 7 to 10, analyzed in the Chosun bunchung from figure 11 to figure 14, analyzed in the Chosun white porcelain from figure 15 to figure 18, analyzed in the European ceramics from 19 to 23. and analyzed in the Chinese ceramics to 24.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lant scroll patterns in Korean ceramics had many different combinations of plants. The main pattern of the wave pattern was mixed with floral patterns, two or more combined to harmonize with each other. Also, the plant scrol patterns were sometimes combined with animal features and human beings. These combinations of ceramics were well expressed in terms of movement sense, and excellent sense of unity and harmony. In the European ceramics, there many things that were combined with plants, humans, therianthropic, half a man, animals, letters, and things. There was another pattern in the empty space between the vines, giving them an exceptional feeling. It did not break the harmony with the appropriate arrangement of vine and depend patterns. It showed the subtlety of discord and harmony. Although this research is on the basis of ceramic arts, it acts as a guide for ceramic practice within the school of art education as it has elements which are specifically fit for educational programs secondary to the curriculum.

한국어

본 논문은 덩굴식물의 유려한 곡선을 사용한 당초문의 조형 원리 분석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미술품에 나타난 당초문 조형의 제반 원리와 도예에 나타난 당초문의 미를 조형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도예가 및 교사들에 당초문에 대한 조형원리를 알기 쉽게 이해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덩굴식물이 가지는 생태학적 특징, 당초문의 기원, 곡선에 있는 조형원리 등을 알아보았다. 당초문의 조형적 구조와 감각적 표현방식, 당초문과 다른 문양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여러 가지 조형 사례를 기술하였다. 당초문의 조형분석은 지면 관계상 총 24개로 한정하였다. 도식화된 <그림1>, <그림2>, <그림3>을 통하여 당초의 계보와 인동당초문을 분석하였고, <그림4>, <그림5>, <그림6>은 도식화된 고구려 당초문과 유럽의 당초문을 비교하였다. <그림7>에서 <그림10>은 고려청자에 나타난 당초문, <그림11>에서 <그림14>는 분청사기에 나타난 당초문, <그림15>에서 <그림18>은 조선백자에 나타난 당초문, <그림19>에서 <그림23>는 유럽의 당초문, 그림<24>는 중국의 당초문의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의 미술품의 당초문은 여러 가지 식물과의 결합이 많은 편이었다. 도예에 나타난 당초문의 주문양인 파상문은 꽃문양과 혼재되어 있었으며, 둘 이상이 상호 조화된 우아한 형태로 통일된 결합문양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당초문이 동물형상 및 인간과 결합된 것도 간혹 있었다. 이러한 결합으로 이루어진 당초문 도예작품들은 운동성과 율동감이 잘 표현되었고, 기물의 형태와 문양이 통일과 조화를 이루고 있었으며, 화려하고 격조 있는 조형감이 돋보였다. 유럽의 도자기에서는 식물뿐만 아니라 인간·반인·반인반수·동물·사물·문자 등과 결합된 것도 많았는데, 덩굴 사이의 빈 공간에 다른 성질의 문양이 배치되어 전혀 다른 파격을 보여주는 것도 있었다. 이러한 파격은 조화를 깨뜨리지 않게 주문양과 종속문양의 적절한 배치로 화면의 변화를 유도하였고, 조화와 파조를 절묘하게 넘나들고 있었다. 이 연구는 기초 학문으로서 도자학의 성격을 가지지만, 더 나아가 학교 미술교육에서 도예학습의 지침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한 교과교육으로서의 부차적 효과를 가진다.

목차

개요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Ⅱ. 본론
  1. 덩굴 식물의 특징
  2. 당초문(唐草紋)의 기원
  3. 당초문의 다양한 결합
  4. 당초문의 상징성
  5. 당초문에 나타난 조형원리
  6. 한국 당초문의 전개
  7. 당초문의 조형성 분석
  8. 당초문의 단계적 지도방안
 Ⅲ. 결론
 그림목록
 참고문헌
 부록

저자정보

  • 전광수 Jeon, Kwang Soo. 부산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 이규숙 Lee, Kyu Suk. 울산 태화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