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군인의 우울수준에 따른 DAS(Draw-A-Story)검사 반응차이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Difference in the Result of DAS(Draw-A-Story) Test on Soldiers' Depression

변나영, 이근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ldiers' difference in result after DAS test was executed. DAS test and BDI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from 247 soldiers. Then, 40 soldiers that take up 20% of those with high depression level and 40 soldiers that take up 20% of those with low depression level were used in the research. They were tested on formal and content-wise analysis of DAS picture test and stimulating picture. SPSS WIN 12.0 was used to manage the result as well as the T-test and χ²test.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part of DAS test, emotional content, ego, and self-re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level. Second, the formal part of DAS test, the use of spa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use of detai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he stimulating picture test, soldiers that choose pictures of dinosaurs and volcano were in a depressed group while those that choose pictures of woman in veil and a child of whom sex cannot be told were under not-depressed group. DAS test has proven to be able to discriminate between soldiers under depression and those that are not through this research. Moreover, this research helps to prevent for the problems related with depression of soldiers and provides basic reference for soldiers counselling area and art therapy for the future study on depress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군인의 우울수준에 따른 DAS검사의 반응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 구대상은 군장병 247명으로 DAS검사와 BDI검사로 상위 20%에 해당하는 40명 우울집단, 하위 20%에 해당하는 40명을 비 우울집단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 DAS 그 림의 형식적 분석, 내용적 분석, 자극그림 선택의 차이에 대한 결과를 SPSS WIN 12.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 χ²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인들은 DAS 검사의 내용적 분석에 있어 정서내용, 자아상, 자기보고 점수가 우울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군인들은 DAS 검사의 형식적 분석에 있어 공간사용 점수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세부사항 사용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 가 나타났다. 셋째, 군인들이 선택한 DAS검사의 자극그림은 우울집단이 ‘공룡’과 ‘화산’그 림을, 비 우울집단이 ‘면사포 쓴 여인’과 ‘중성적 아이’ 그림을 많이 선택하였다. 이러한 연 구 결과는 DAS검사가 군인의 우울과 비 우울 상태를 진단하고 변별하는데 있어 유용성을 입증하는 것과 동시에 부적응 병사들을 선별하여 우울과 관련된 문제 등을 예방하고 군인 관련 상담, 미술치료 분야에서 우울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1.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 간 DAS 내용적 분석 차이
  2.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 간 DAS 형식적 분석 차이
  3.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 간 DAS 자극그림 선택의 차이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변나영 Byeon, Na Yeong.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이근매 Lee, Keun Mae.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미술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