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comparison of collage response characteristics between normal and maladjusted adolescents
초록
영어
This study is focused on whether the collage has discrimination on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rough investigating collage response characteristic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4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cheong area who get over 63T in K-CBCL which is conducted to student’s mother. The comparative group is composed by 34 middle school students who get less than 63T in K-CBCL. Form and contents comparison is performed between these two groups. SPSS Win 18.0 i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calculation.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ictures composing collage between the school mal-adjusted students and the normal students. Second,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usage of symbolic characters between the school mal-adjusted students and the normal students. Third,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rrangement, unification between the school mal-adjusted students and the normal students. Fourth,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xpressed contents between the school mal-adjusted students and the normal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llage can be usable to discriminat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and make a diagnosis. And, Suggesting that the collage has the possibility to be a pre-diagnosis method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school mal-adjusting.
한국어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콜라주 반응특성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학교부적응 중학생 34명과 일반중학생 34명을 선정하였으며, K-CBCL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두 집단 간 콜라주를 실시하여 형식분석과 내용분석의 26개 항목을 체크하여,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χ²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작품 구성에 있어서 사진 조 각 수가 학교부적응 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진조각 사용방식에 있어서 의미 있는 문자사용이 학교부적응 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조화성 항목에 있어서 공간배치, 통합성이 학교부적응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내용표현에 있어 학교부적응 청소년과 일반청 소년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콜라주가 청소년들의 학교부적응 을 진단하고 변별하는데 있어 유용성을 입증하는 것과 동시에 청소년들의 학교부적응을 사전에 진단하고 학교부적응으로 일어나는 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보조적 도구 로서 가능성을 시사한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3. 용어정의
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분석 항목
5. 자료분석
III. 연구결과 및 해석
1. 형식 분석에 따른 학교부적응 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 반응특성
2. 내용분석에 따른 학교부적응 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 반응특성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