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조선족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원문정보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김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Kim, Eun-young This study examined images and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published between 1949 and 1992, which manifested within the change of time. Meanings of 'home', shown in Korean Chinese poetry, created under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by Chinese socialism regime and experiencing assimilation and adjustment, form multi-layered net of meanings. First, 'home' in the period between the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represented a symbol of change, assimilation and adjustment to survive as a minority within China. 'Home' shown in works since the open policy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76 tried to confirm and realize the sense of homogeneity and identity through revival of customs symbolized by restoration of historic memories, folk culture, food, and features. Changed images and meanings of home shown in these works share the same Korean element and blood line and yet depend on unique circumstances of Korean Chinese and community existed as one of the minorities in China. Therefore, Korean Chinese culture and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as a unique cultural community formed by a mix of two cultures and identities; Chinese and Korean. In addition, image of 'home' shown in these works represents a space of the community with historic and cultural uniqueness, and a space to store realized and activated memories.

한국어

본 연구는 1949년부터 1992년까지 발표된 중국 조선족 시작품을 대상으로 시대변화 속에 구현된 ‘고향’의 모습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국 사회주의체제 하에서의 차별과 억압, 동화와 적응의 과정을 겪으며 창작된 조선족 시에 드러난 ‘고향’의 의미는 중층적 의미망을 형성한다. 먼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부터 문화대혁명이 끝나기까지 ‘고향’의 의미는 중국이라는 국가체제에 속한 소수민족으로서 생존을 위한 변화와 수용, 동화와 적응의 표상으로 양식화되었다. 1976년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개혁 개방기 이후의 작품에서 보이는 ‘고향’의 모습은 역사적 기억의 복원과 향토, 음식, 풍물 등으로 상징되는 풍속의 재현을 통해 집단적 동질감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고향의 변화된 모습과 의미는 한민족이라는 동일한 민족적혈통적 요소를 가지면서도 중국 내 소수민족의 하나로 존재하는 중국 조선족의 특수한 상황과 집단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조선족 문화와 정체성은 중국과 조선이라는 두 개의 문화와 정체성이 융합되어 형성된 특수한 문화 공동체로서 바라봄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들의 작품에 드러난 ‘고향’의 모습은 역사적문화적 특수성이 내재된 공동체적 공간으로 자리하며 구체화되고 활성화된 기억의 저장소로서 의미를 갖는다.

목차

국문개요
 1. 머리말
 2. 동화와 적응의 매개체
 3. 기억의 재현과 복원
 4. 문화적 구성물로서 정체성 추구
 5. 맺음말
 □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은영 Eun-young. 대림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