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 日本文學

일본 전후시(戰後詩)속의 생(生)과 사(死) ― ‘1세대’ 시인들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Life and Death in Postwar Japanese Poems - A Study on ‘first generation’s poets -

임용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oets of first generation who wrote Japan’s postwar poems especially in poetry journal “Arechi” could not be free from the memory of the war with the stream of times. The poets as inevitable result of the war, gazing at or illuminating life and death clearly, have the historicity as fate of postwar poems. The death is represented as war’s dark past and the perception life is represented as will of new poetic start towards future life unconsciously. It is noteworthy that coexistence and contrast of life and death are not impartially described as simple injection of ideas and beliefs, but narrated by creative and various rhetorical devices. The poets’ particular interest in language have partially succeeded modernism poetry of early Showa period. But a big difference is that they deny the simple formalism and amusement. They aggressively pursuit the harmony of language and imagination as poem’s tool escaping from sense of historic debt. This can be a glimpse of non-historicity of postwar poetry. Specifically, Tamura Ryuichi, Gitaoka Dakayuki, and Yoshioka Minoru are initiatively conscious of the importance of expression of individual ‘language’ by searching the theme with using surrealistic rhetoric unlike the theme regarding the ideas and belief of life and death.

한국어

일본의 전후시, 그 중에서도 시 잡지 『황지』를 중심으로 한 1세대 시인들은 연령적으로 전쟁의 기억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에서 생과 사에 대한 뚜렷한 시적 응시가 두드러진다. 죽음은 전쟁의 암울한 과거를, 삶의 자각은 미래를 향한 새로운 시적 출발의 의미성을 무의식적으로 투영하는 가운데, 전후시의 숙명인 ‘역사성’을 표상한다. 주목할 점은 생과 사의 첨예한 공존과 대립이 단순한 관념이나 사상의 요설에 함몰되지 않은 채, 개성적이고 다양한 시적 수사(修辭)로 채색되고 있는 점이다. 이러한 ‘언어’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집중은 쇼와 초기의 모더니즘 시운동의 전통과 흐름을 일정부분 계승하면서도, 형식만능주의에 치우친 유희적 실험을 지양하고 있는 점에서 차별적이다. 시의 유일 도구로서의 언어와 시적 상상력의 조화는 ‘현대시’로서의 전후시가 과거에 대한 부채의식이라는 ‘역사성’에서 탈피하여, 언어의 감각적 추구라는 ‘비역사화’의 의도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음을 암시한다. 본고에서 고찰한 다무라 류이치, 기요오카 다카유키, 요시오카 미노루 등의 시편은 자칫 관념이나 사상에 치우치기 쉬운 생과 사의 테마를 초현실주의적 시법에 입각해 개별적인 언어 수사로 응시함으로써, 현대시로서의 언어 표현의 중요성과 새로운 가능성을 주체적으로 자각하고 있다.

일본어

日本の戦後詩、なかでも詩雑誌『荒地』を中心とする「1世代」の詩人たちは年齢的に戦争の記憶から自由になれない状況で、生と死を明確に見つめる詩的態度を示している。死は戰爭の暗鬱な過去を、生への自覚は未来に向けた新たな詩的出発の意味合いを無意識に投影するなかで、戦後詩の宿命である「歷史性」を表象する。注目すべきことは生と死の先鋭な共存と対立が単なる観念や思想の饒舌に陥没されず、個性的で多彩な詩的修辞で縁取られていることである。この「言葉」に対する特別な関心と集中は昭和初期のモダニズム詩運動の伝統と流れを一部引き継ぎながらも、形式主義に偏った遊戯の実験を拒んでいることで差別生が認められる。詩の唯一の道具なる言語と詩的想像力との調和は「現代詩」としての戦後詩が過去の負い目という「歴史性」から脱皮し、言語の感覚的追求という「非歴史化」への意志を全面に打ち出していることを示している。本稿で取り上げた田村隆一、清岡卓行、吉岡実などの詩は生と死という、下手すると観念や思想に走りやすいテーマを超現実主義の詩法に基づいて個別の言語修辞で捉えており、現代詩の核心というべき言語表現の重要さと新たな可能性を積極的に自覚している。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황지파(荒地派)’의 생과 사
 Ⅲ. 기타 ‘1세대’ 시인들의 생과 사
 Ⅳ. 요시오카 미노루(吉岡実)의 「승려(僧侶)」
 Ⅴ. ‘전후시’에서 ‘현대시’로 - 맺음말을 대신하여 -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임용택 RHEEM YONG TACK. 인하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 일본근대문학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