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소통유형과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과의 관계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Self-esteem,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임문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begins at the recognition that communication in education is important and the suspec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ccording to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self-esteem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Thir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 65.5%, the highest rate, was the democratic type.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ex of teach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ordinate factor of social self-esteem according to the age of teacher and the grade of stud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varied according to the grade. Also,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ordinate factor of social reasoning skills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and the sex of student.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As teachers’ communication type is the democratic typ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was higher than anything else and the next order was the admissive type, urging type, compulsory type. Also,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ordinate factor according to the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As teachers’ communication type is the democratic typ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was higher than anything else and the next order was the admissive type, urging type, compulsory type. Also,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ordinate factor according to the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한국어

본 연구는 학급 내에서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라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인식에서 시작하였고, 이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민주형이 65.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하였다.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은 교사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초등학생의 자 아존중감은 하위영역 중 사회적 자아존중감에서 교사의 연령과 학생의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초등학생의 사회성은 학생의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하위영역 중 협력성 영역에서 교사의 교직경력과 학생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민주형 의사소통유형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용형, 촉구형, 강 제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별 차이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라서 초등학생의 자아존중 감 전체와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이에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초 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라 초등학생의 사회성은 유의미한 차이 를 보였다. 민주형 의사소통유형의 사회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용형, 촉구형, 강제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사회성의 하위요인별 차이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라서 초등학생의 사회성 전체와 모 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따라서,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교사의 의사소통유형
  2. 자아존중감
  3. 사회성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1. 배경변인별 인식 차이 분석
  2.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3. 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
  4.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문희 Im, MunHee. 인천영종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