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초등교과서에 나타난 지진재해 관련서술의 변천

원문정보

Transition of Statements about Earthquake Disaster in Japanese Elementary Textbooks

한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how disaster has been detected in school education by reviewing the contents of the earthquake in Japan's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lthough the initiative has been implemented to prevent and reduce the disaster , there has been no proven truth in how it has been affected by disasters in educational process. The examination of inherent meaning on school textbooks that when the disaster was appeared in the textbooks and how it was conveyed to the readers, who had not experienced it, will in any sense be referred to as a guide to the disaster education, especially to the Korean post industry society, it will raise the fundamental and challenging questions about disaster education. This thesis will focus on the social meaning of the each disaster and trace the changes of depiction, including the Kanto Great Earthquake, Iseman typhoon, HansenAwaji Disaster.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일본 초등 교과서(1893-2015)의 지진 재해에 관한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재해가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가를 밝히는데 있다. 재해라는 주제가 교육과정에 도입된이래 이를 방지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 노력은 있어왔지만 정작 그 가운데 재해를 통해교육이 어떤 영향을 받게 되었는가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일본 사회의 재해가 언제부터 교과서에 게재되었으며 재해를 경험하지 않은 아동들에게 어떤 의미로 전달되었는가 하는 내재적 의미의 검토는, 오늘날 포스트 산업사회의 한국이 직면한 과제로서 재해 재앙 교육의 근원적인물음으로서 참고로 할 만하다. 본론에서는 관동대지진(1923), 이세만 태풍(1959), 한신/아와지 대진재(1995), 동일본진재(2011) 등 재해에 관한 교육을 강조하게 된 사회적 계기를 중심으로 제교과서에 사용된 재해 표상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우선 교과서 상에 가장 빈번히 기록된 관동대지진(1923)을 미디어사적 접근으로 분석하여 시대별로 지진이 어떻게 인식되었는지를 밝힌다. 다음으로 재해를 경험한 적이 없는 아동 독자에게 교과서가 제공한 재해의 전달기법에 초점을 맞추어 그 특징을 다루었다. 내용과 방법이라는 양측의 검토를 통해 교과서를 통한 지진재해 전달이 어떤 사회적 의미를 가졌는지, 그리고 지진재해의 인식을 통해 아동독자에게 어떤행위를 장려하고 조절하고자 했는지를 종합적으로 확인한다. 나아가 재해 교육으로 인해 교육이 얻은 변화와 과제에 대해 논한다.

일본어

本稿の目的は日本初等教科書(1893-2015)における地震災害に関する内容を検討すること で,学校教育の中で災害がどのように認識されてきたかを明らかにするところにある.従来の災 害教育の方向はその防止や減少のための実践が主であったが,災害を通して教育がどのよう な影響を受けるようになったかについては考察してこなかった.災害を経験したことない子供たち に何をどのように伝えたかという内在的意味の検討するに,教科書は抜けてはいけない重要なメ デイアの一つである.本論では関東大地震(1923),阪神․淡路震災(1995),東日本震災 (2011)など,災害に関する教育を強調するようになった社会的きっかけに基づいて諸教科書に 使われた災害表象の変遷を検討し,災害が各時期に社会的にどのような意味を含意したか,ま た教育研究において災害はどのような課題であったかについて論じる.

목차

<요약>
 Ⅰ. 서론: 방재교육에 있어서 재해와 리스크
 Ⅱ. 본론
  1. 재해교육의 이론적 배경
  2. 관동대지진의 서술
  3. 지진재해의 전달형식
 Ⅲ. 결론
 참고문헌
 抄錄
 [Abstract]

저자정보

  • 한현정 Han, Hyun-jung. 부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