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김광주의 「석방인」(1953)을 통해 본 전후 복구의 문제 - 「동방이 밝아온다」(1951)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Matter of Postwar Recovery Seen through Kim Gwangju’s 「Seokbangin」(1953) - Focusing on its comparison with「The East Dawns」(1951)

전지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common ground and a difference between two works through comparing Kim Gwang-ju’s 『The East Dawns」(1951), which was released during the Korean war, and 「Seokbangin(釋放人)」(1953), which was unveiled right after the war. 「The East Dawns」, which had been suspended a serial during the war, was written again from the new perspective with reaching 「Seokbangin」 after the war.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aim was to closely examine a difference between both works of being made with a change in the background amidst a work to Busan from Seoul, and in a hero to a male artist, who has a history of compulsory labor, from an ethical woman, and also with the emphasis on generation theory, which had failed to be examined before. Comparing this with 「The East Dawns」that had denounced the disaster of war with the eyes of a morally female entity, a case of 「Seokbangin」, which gives a situation of treacherous act to a convert, was indicated to have been relatively weakened the anticommunist spirit. Also, female characters were clarified to be negatively described in the process that is noticeable in a critical eye on the depraved image after the war against a backdrop of Busan. Sequentially, an inflexible generation theory was also indicated to be revealed by excluding a convert from a field of construction in which ‘the early 30th’ became the primary axis. This may be noted in a regard of being an outcome of a schematic generation theory and of the end at the same time, which eventually assigns him to the boundary of the people. The author’s goal as saying of willingly depicting diverse humangroup images, which may be found in the history of ordeals, could be completed with reaching 「Seokbangin(釋放人)」that embodied various character groups in the middle of chaotic Busan. And what is examining the post-war topography with a sense of consistent distance from all characters of appearing in a work is the outcome that 「Seokbangin(釋放 人)」achieved. On the other hand, a biased view on a female character, a position of being not arranged on a convert, and a compulsive emphasis on the generation theory are reflecting the author’s rigid view of the world following the war.

한국어

본고는 전쟁 중 발표된 김광주의 「동방이 밝아온다」(1951)와 전쟁 직후 발표된 「석방인」(1953)의 비교를 통해 두 작품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검토하고, 정치・사회상의 변화에 따른 작가 의식의 변모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전쟁중 연재를 중단했던 작가의 장편소설 「동방이 밝아온다」의 주요 설정은, 전후 「석방인」에 이르러 재소환되어 새로운 관점에서 쓰여지게 된다. 이를 감안해 작품 속 배경이 서울에서 부산으로, 주인공이 윤리적인 여성에서 부역 전력이 있는 남성 예술가로 변화하고, 또한 이전에는 살펴볼 수없었던 세대론이 강조되면서 빚어지는 두 작품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도덕적인 여성 주체의 시선으로 전쟁의 참상을 고발했던 「동방이 밝아온다」와 비교할 때, 전향자에게 부역 과정의 사연을 부여하는 「석방인」에서는 반공의식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음을 지적했다. 또한 부산을배경으로 한 「석방인」의 경우 전후 후방의 타락상에 대한 비판적 시선이 두드러지는 과정에서 여성 인물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논했다. 이어 전향자를 주인공으로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30대 초반’이 주축이 된건설의 현장에서 그를 배제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는 도식적으로 세대론을 적용한 결과인 동시에 끝내 전향자를 국민의 경계에 배치하는 결말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전쟁 중 수난사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군상을 묘파하겠다는 작가의 목표는, 혼란한 후방 부산의 다양한 인물을 형상화한 「석방인」에 이르러 비로소완성될 수 있었다. 그리고 작품 속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에 대해 일정한 거리감각을 갖고 전후의 지형을 살피고 있는 것은 「석방인」이 거둔 성과다. 반면 여성인물에 대한 편향적 시선, 전향자에 대한 부정적 입장, 강박적인 세대론의 강조는 전쟁 이후 작가의 보수적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1. 한국전쟁과 소설가 김광주의 입장
 2. 반공(反共)으로부터 재통합(再統合)으로,「동방이 밝아온다」와 「석방인」의 차이
 3. 설정의 변화를 통해 본 전후 재건의 방향성
  1) 전향 예술가의 전경화, 반공 메시지의 희석과 예술지상주의
  2) 서울 환도의 이상, 후방과의 결별과 남성적 도의의 구축
  3) 세대론의 재소환, 30대의 부상과 구세대의 퇴조
 4. 결론 : 국민통합이라는 화두와 보수성의 심화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지니 Jun Jeenee. 한국항공대학교 인문자연학부 교육중점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