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20년대 조선 지식인의 만주 기행문에 나타난 ‘중국(인) 인식’

원문정보

Chosun Intellectuals' Travel Writing about Manchuria and Chinese in the 1920’s

周曉蕾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nized ethnic groups has rarely been mentioned in existing research. When they met, how did they understand and represent each other under the order of colonial empire? As a step towards answering this questions, this study aims to discusses how Chosun colonial intellectuals understood and represented the former suzerain China/the Chinese through exploring their travel essays about Manchuria in the 1920’s. In this study, I dealt about over 30 travel essays – mostly were reported for news papers and magazines – attempting to construct the images of China and the Chinese through their eyes. In these essays, Manchuria was emphasized for the purpose of recovering national origins of Chosen as it was historically and geographically tied to the Korean nation. However Manchuria in reality failed their expectations. They saw Chosun peasants' poverty-stricken under the oppression of Chinese officials and local people with their own eyes. As a result, Manchuria was depicted as a symbol of violent and an uncivilized region. Meanwhile, Chosun intellectuals described the Chinese as ‘victimizers’ as well as ‘the same victims of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the filter of ‘Chosun people’; On the other hand, they represented the Chinese as ‘uncivilized sick man’ through the filter of ‘civilized individual’ with a complex feeling of sympathy combined with revul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perceptions toward China/the Chinese in travel essays about Manchuria in the 1920’s, are ultimately the projection of the conflict within ‘national consciousness’ and ‘modern consciousness’ of Chosun intellectuals themselves. In other words, the double identities of ‘colonial subject’ and ‘civilized individual’ caused the rupture of their perspectives of China/the Chinese. This is also a marked difference from the discourses in the 1930-40's.

한국어

기존의 연구는 ‘제국–식민지’라는 양자 간 관계에 치중하고 ‘식민지-(半)식민지’라는 구도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식민지기에 일제에 의해 바라보이기만 했던 조선인은 근대의 타자이자 피지배자라는 동일한 위치에 있는 중국인을 바라보는 주체로 변했을 때, 그들을 어떻게인식했을까?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크게 조명되지 못했던 1920 년대 신문․잡지에 게재된 30여 편의 만주 기행문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글들에 투영된 조선지식인들이 중국(인)에 대한 인식을 추적해 보았다. 조선 지식인들은 조선 민족의 ‘희망의 땅’으로서의 만주를 열망하였으며, 단순한 타국체험을 넘어 민족 공동체의 생존과 결부된 측면에서 만주행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바람과는 달리 현실에서의 만주는 혐오와 공포가 교차되는 ‘수난의 공간’이자 ‘미개한 땅’으로 묘사되게 된다. 그들은 때로는 ‘조선인’이라는 시선을 통해, ‘가해자’나 ‘연대의 대상’로서의 중국인을 인식하고, 때로는 ‘문명인’이라는 의식을 통해, ‘미개한 병자’로서의 중국인을 형상화시키면서 ‘연민 어린 미움’이라는 양가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있다. 1920년대 만주행에서 드러난 중국인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인식은 궁극적으로 이들이 ‘민족의식’과 ‘근대인식’ 간의 투쟁이 투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심리적 동요 및 인식투쟁이야말로 1930-40년대 대량 생산된 조선인의 만주 담론과 차별된 지점이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1920년대 조선 지식인 만주행의 시대적 배경 및 주요 양상
 3. 만주기행문에서 나타난 ‘중국(인) 인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周曉蕾 주효뢰. 북경외국어대학교 한국어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