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김유정, 이효석 소설의 음식과 성 비교 고찰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Food and Sex in Novels between Kim Yu-Jeong and Lee Hyo-Seok

이미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presenting the 1930s in Korea, Kim Yu-jeong and Lee Hyo-seok were from Gangwon. They exhibit different attitudes toward food and sex in their works set in farming villages, hometowns, nature, and mountains. Kim takes a physiological, one-dimensional, basic and functional perspective of food. Depicted by him, the hierarchical attitude toward sex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 gender, status, and money is chewed and massaged like food. Under the connivance and abetment of husbands, their wives give out their bodies to other men. Deulbyeongis are shared among rural single men. The inferior status of women demonstrates that this society is primitive and uncivilized. As even the minimum level of ethics and morality cannot be maintained, women are allowed to many different men and regarded as livestock, property, and means of livelihood. Kim's novels depict a violent, aggressive, and one-sided attitude toward food and sex, in which sense his literature resembles Dostoevsky's literature characterized by greedy carnivorism. Kim's novels also criticize the reality and reproduce siteness in a real fashion, talking about charivari-style punishments in the social atmosphere where the sex norms are violated with people having no guilt. Unlike Kim, Lee usually depicts natural fruits such as apples, pomegranates, wild berries, and wild apricots in his works. Those fruits contribute to an erotic and lyrical mood as they are not described in the aspects of hunger and starvation. The apple(Neunggeum or Imgeum) is, in particular, an allegory for Adam and Even in the Eden, representing the sexual curiosity and temptation of young people. Lee's food and sex are the objects of hedonic pleasure, enjoyment, and feel, being depicted to be sensual and Tolstoyan. Lee depicts the shame, guilt, and desire of young people with the issues of reality pushed back, which is why his novel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novelsand rites of passage. Being always oriented toward Utopia, he looked at the reality of colonized Joseon, the Eden that had been destroyed and damaged, in an aesthetical and decorative manner.

한국어

김유정과 이효석은 1930년대를 대표하는 강원 출신 작가이다. 농촌과 고향, 자연과 산들을배경으로 한 작품에서 두 작가의 음식과 성에 대한 태도는 사뭇 다르다. 김유정의 경우 음식에 대한 관점은 생리적이고 1차원적이며 원초적이고 기능적이다. 계급, 성별, 지위, 돈에 따른위계적인 태도로 인해 여성들은 음식을 먹듯이 씹혀지고 주물러진다. 남편의 묵인과 방조하에아내들은 다른 남자에게 제공되며, 들병이들도 시골총각들에게 공유된다. 여성들의 열악한 위치를 통해 작가는 원시적이고 반문명적인 식민지 현실을 고발한다. 최소한의 윤리나 도덕조차유지되지 못한 원시적인 현실에서 남자들에게 허여되는 여성은 가축이나 재물로 여겨지고 생계의 수단으로 인식된다. 음식과 성에 대해 폭력적이고 공격적이며 일방적인 김유정 소설은탐하려고 하는 육식성을 특징으로 하는 도스토옙스키 문학과 닮아있다. 또한 현실비판적이고현장성을 리얼하게 재현하는 김유정 소설은 성 규범이 이탈되거나 죄의식을 갖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를 통해 샤리바리적 응징을 나타낸다. 이에 비해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음식은 능금, 석류, 산딸기, 개살구와 같은 자연 속의 과실들로서 그 향기와 체취로 색욕을 자극하는 역할을한다. 즉 음식은 에로틱하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이끄는데 기여할 뿐 배고픔이나 굶주림의 차원에서 그려지지 않는다. 사과(능금, 임금)는 에덴동산의 아담과 이브를 알레고리함으로써 젊은이들의 성적 호기심과 유혹을 드러낸다. 쾌락적이고 향유하며 느끼고자 하는 이효석 소설의음식과 성은 관능성으로 나타나기에 톨스토이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실문제는 전면에드러나지 않은 채 젊은이의 수치심과 죄의식, 욕망을 표출하고 있어 성장소설적․통과의례적특징을 지닌다. 유토피아를 지향했던 이효석은 파괴되고 훼손된 에덴동산인 식민지 현실을 심미적이고 장식적으로 바라보았다. 이와 같이 음식과 성에 대해 김유정은 폭식성으로, 이효석은 관능성으로 드러나는 문학적 차이를 보인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김유정 소설의 육식성과 ‘샤리바리’적 응징
 3. 이효석 소설의 관능성과 유토피아 지향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미림 Lee, Mi-Rim. 강릉원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