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통 교육과 창의성 : 이공계특성화 대학의 커뮤니케이션 수업과 창의성 증진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Communication Education and Creativity : The Effect of a Creative Communication Course for Science and Technology Students

김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a communication course adopting strategies for enhancing creativity affected to student's creativity. It explored correlations among personality, creative self-efficacy, demography, and creativity scores. The study also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ir creativity in a Korean student context. Participants were 50 students (26 males and 24 females) who enrolled a creative communication course in a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Participants represented a cross-section of academic years. Students participated in several surveys including OCEAN personality tests, self-efficacy test, demography and creativity test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As a result, firstly, the program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creativity ability of the students.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such as originality, fluency, and flexi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s. Second, extraversion and creative self-efficacy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creativity. The data revealed tha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total scores of creativity than male students’ creativity.

한국어

본 연구는 이공계 특성화 대학 학생들의 핵심역량인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하여 인문사회교양 과목인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과목을 재설계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 창의성의 개인차를 알아보기 위해서 성격유형, 창의 효능감, 성별, 나이, 학년 등의 변인들이 창의성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한국의 이공계 특성화 대학 학생들이라는 맥락에서 창의성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 또한 살펴보았다. 실험집단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공계특성화 대학의 교양과목인 커뮤니케이션 수업을 수강한학생 50명이며 비교집단의 유효 참여자는 14명이다. 본 연구의 학습 성과는 창의성 측정도구인 TTCT 언어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역전학습 모델 커뮤니케이션 과목을 수강한 실험 집단 학생들의 창의력 지수가 수업전보다 유의미하게 높아져 커뮤니케이션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력과 관련한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창의 효능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외향성이 높은 학생일수록 창의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창의성에서 더 높은점수를 보여주었으며 본 연구결과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창의성 함양 교육 효과
  2) 창의성 관련 변인 연구
  3) 커뮤니케이션 수업의 내용과 운영
 3. 연구방법
  1) 연구 문제
  2) 연구대상과 절차
  3) 검사도구 및 척도 측정
 4. 결과
  1) 커뮤니케이션 수업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진영 Jin-Young Kim. 울산과학기술원 기초과정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