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ommons in the modern city and the reproduction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discussions from the common land in the history to the contemporary commons, and discusses how the commons is produced in the modern city and how alternative reproduction of life based on it are possible. The discussion of Negri and Hardt shows well the mechanism by which immaterial commons is produced in a city that has become a social factory. These discussions can be used as a basis for asserting that producers of commons have the right to the city. Federici criticizes Negri and Hardt and emphasizes relatively the approach to the material base. Squat is a major example of Federici. However, in the case of two squats in Korea, artists and homeless people knew that they could become producers of commons, and based on that, they tried to realize the right to the city by themselves. In short, the immaterial commons of Negri and Hardt can provide the basis for the right to a ‘material basis’ that Federici argues for reprodu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역사상의 공유 토지에서부터 현대의 공통재에 이르는 다양한 논의를검토하며, 이를 바탕으로 현대 도시에서 공통재가 어떻게 생산되고 이에 기초한대안적인 삶의 재생산은 어떻게 가능한지 논의한다. 네그리와 하트의 논의는 사회적 공장이 된 도시에서 비물질적 공통재가 생산되는 메커니즘을 잘 보여준다. 이들의 논의는, 공통재의 생산자들이 도시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있음을 주장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페데리치는 네그리와 하트의비물질적 공통재가 재생산을 담보할 수 없다고 비판하며 상대적으로 물질적 기반에 대한 접근을 강조한다. 스쾃은 페데리치가 드는 주요한 사례다. 그러나 국내에서 진행된 두 스쾃의 사례에서 예술가들과 노숙인들은 자신들이 공통재의 생산자가 될 수 있음을 깨닫고 있었고, 그것을 근거로 삼아 도시권을 스스로 실현하고자 했다. 요컨대 네그리와 하트의 비물질적 공통재는 그 자체로 재생산을 담보하기는 어려울 지라도, 페데리치가 재생산을 위해 주장하는 ‘물질적 기반에 대한접근’에 필요한 권리의 근거를 마련해줄 수 있다.
목차
1. 근대 이전의 공유지
2. 제3영역으로서의 공통재
3. 반자본주의적 공통재
1) 자본의 ‘외부’로서의 공통재
2) 삶정치적 생산의 중심으로서의 공통적인 것
3) 집합적 재생산의 장으로서의 공통재
4. 결론: 도시와 공통재 그리고 재생산
Abstract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