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은 행동을 설명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가 ? : 국내 학술지 대상 메타분석을 통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정교화를 위한 시론

원문정보

How Effective are Additional Variables to Predict Human Behavior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A Meta-Analytic Approach to Elaborate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이진우, 손영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s used for the expa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o show the change of variance of additional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how much the addition of these concept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rough a meta-analysis on 217 studies published up to the end of 2016 in Korea.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in the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re past behavior, habit, past experience, moral norm, group norm, descriptive norm, knowledge, self-efficacy, self-identity, and implementation intention. The habit, past behavior, and moral norm had a great effect to increase variance explaining the behavior intention or behavior. Also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se concepts could be useful to exte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finding implies that additional variables are significant in the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meta-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s in which curren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search can be taken forward.

한국어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계획된 행동이론 및 확장된 이론을 적용한 논문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을 위해 사용된 개념들을 검토해 보았다 . 또한 이들 개념이 추가됨에 따라 계획된 행동이론의 설명력 증가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이를 위해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21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 그 결과 , 계획된 행동이론의 설명력을 증가시기키 위해 사용된 추가 개념은 과거 행동 , 습관 , 과거 경험 , 도덕규범 , 집단 규범 , 기술 규범 , 지식 , 자기효능감 , 자기정 체성 , 실천의도 등이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 습관 , 과거 행동 , 도덕규범은 행동의도나 행동을 설명하는 변량을 증가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특히 이들 개념은 행동의 도나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계획된 행동이론을 확장 하는 데 있어 유용한 개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데 널리 적용된 대표적인 이론가운데 하나인 계획된 행동이론을 확장하는 데 있어 검토할 수 있는 요인과 그 설명력을 살펴보았다는 데 가장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들어가는 말
 이론적 배경
  계획된 행동이론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
  계획된 행동이론에 대한 선행 메타분석
 연구방법
  자료 수집 및 선정
  분석 대상 논문 포함/제외 기준
  자료 분석
 연구결과
  계획된 행동이론 기본 개념 간 상관관계 결과
  계획된 행동이론 기본 구성개념과 추가 개념 간 상관관계 결과
  행동의도 설명력 변화 정도
  행동 설명력 변화 정도
  간접효과 분석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진우 Lee, Jinwoo.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 손영곤 Sohn, Youngkon. (주)베인스 데이터마케팅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