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흡연자와 비흡연자 남녀 대학생 비교 : 국내외 담배 경고그림 비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Comparison between College Male/Female Smokers and Non-smokers : Centering Around Domestic and Global Pictorial Warning on Cigarette Packs

엄남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ollege smokers and non-smokers’ attitude toward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s. In addition, the study makes an effort to examine if a gender plays any role in affecting attitude toward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s. Lastly, the current study compares attitudes toward to pictorial warnings in Korean tobacco packs with those in an international tobacco pack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mokers (five males and five females) and 10 non-smokers (five males and five females). Study findings suggest that pictorial warnings are not effective among college smokers when it comes to quitting. However, pictorial warnings are somewhat effective in reducing daily smoking among female smokers. Smokers’ optimistic bias and selective perception seem to be factors which reduce effects of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s. Effects of pictorial warnings are rather easily found among non-smokers, resulting in arousing consciousness on risks of smoking developing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smoking. Lastly, compared with pictorial warnings on domestic cigarette packs, pictorial warnings on international cigarette packs seems to be more effective in delivering communication message such as harmful effects of smoking. Study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when it comes to renewing domestic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s as well as revising anti-smoking policy.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 흡연자와 비흡연자들의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 또한 , 남성과 여성 , 성별에 따른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했다 . 마지막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담뱃갑 경고그림과 국내 경고그림을 비교해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살펴보는 데 있다 . 본 연구를 위해 흡연자 10명(남성 5명, 여성 5명),비흡연자 10명(남성 5명, 여성 5명)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했다 . 연구 결과 , 흡연자들에게 담뱃갑 경고그림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여성 흡연자들에게는 다소 절연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흡연자들 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강한 ‘낙관적 편견 ’과 ‘선택적 인식 ’이 경고그림의 효과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는 흡연자들에게보다는 오히려 비흡연자들에게 흡연으로 인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흡연에 대한 진입장벽 효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마지막으로 , 국내 경고그림과 달리 외국 경고그림이 혐오 정도 차원에서 보다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결과는 향후 경고 그림을 새롭게 하거나 금연관련 정책을 개정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국문초록
 서론
 이론적 배경
  담뱃갑 경고그림 국내 및 해외 상황
  담뱃갑 경고그림 효과
  위협소구 및 공포소구 효과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연구문제
  연구 과정
 결과
  흡연자들과 비흡연자들의 담뱃갑 경고그림 효과에 대한 태도
  흡연자들과 비흡연자들의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혐오감 정도의 차이
  국내 담뱃갑 경고 그림과 해외 담뱃갑 경고 그림에대한 인식의 태도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엄남현 Nam-Hyun Um.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